•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雪窓 普明의 ‘雪窓蘭’과 「畵蘭法」 연구 (Orchid Paintings by Xuechuang and his Meth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雪窓 普明의 ‘雪窓蘭’과 「畵蘭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8권 / 288호 / 155 ~ 180페이지
    · 저자명 : 강영주

    초록

    元代는 군자를 상징하는 회화주제가 유난히 발달하였다. 당시 출사가 불가능했던 문인들은‘淸高’를 추구하며 은거하고 그림과 시로 자족하였다. 선승인 雪窓 普明(?-약 1352)도 문인사대부들의 전유물이었던 묵란화를 그려 이러한 시대의식을 표출하였다.
    설창은 묵란화에 공자, 굴원에 의해 고착된 ‘군자’, ‘충절’, ‘지조’ ‘절개’ 등의 난초의 상징적 의미를 투영하였다. 때문에 설창이 만든 묵란화의 전형은 조선의 왕과 문인사대부, 일본의 선승들의묵란화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설창은 원각사 출가 시기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으며, 운암사 거주 시기에는 최초의 난화보인 『화란필법기』를 지었다. 특히 운암사, 승천사 시절에는 회화적 기량을 발휘해 묵란화를 활발히 제작하였고, 선승동료 회기원희를 비롯해 조맹부, 조옹, 우집, 가구사, 이기 등 많은 인물들과서화로 교유하였다.
    당대의 문인들은 설창의 묵란화가 조맹견과 조맹부의 난법을 이어 받았다고 하며 ‘설창난’을높이 평가 하였다. 실제 조가의 난법과 설창난과는 구도나 소재가 유사하다. 다만 묵란화 양식의 기준이 되는 난잎이나 꽃잎, 꽃술이나 돌의 표현, 대나무 등의 요소가 조가의 난법과 다른 설창만의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때문에 설창의 난 그림을 ‘설창난’이라고 특별히 이름 지어 부르는 것이다.
    『화란필법기』는 설창이 난 그리는 방법을 적은 기록이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제지정직기』 「화란법」이 설창의 유실된 『화란필법기』의 내용을 요약해서 기록해 놓은 것으로 확인 되어 현존하는 최초의 蘭譜임을 알 수 있다. 송원대에는 매화나 대나무를 그리는 화보가 상용화되었으며, 이러한 고화보를 토대로 현재까지 매죽에 대해서는 폭 넓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묵란화 연구는 난화보의 부재로 진척이 없었다. 때문에 운필법, 집필법, 난초를 그리는 세세한 설명을기록한 설창의 「화란법」은 최초의 난화보로 난 그림 연구에 중요한 1차 사료임을 알았다.
    설창은 자신의 작품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아 그의 회화지향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그의작품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款識 즉 ‘구원여분’, ‘광풍전혜’, ‘현애쌍청’, ‘현애유방’, ‘물외청락’을통해 그의 회화관을 엿 볼 수 있었다. 즉 그는 공자, 굴원이 읊고 노래한 난초와 혜초의 상징성을 자신의 삶에 대입하고자 했다. 설창은 식물적 형상을 초월하는 난초의 정신성을 자기화 내면화 했고, 묵란화로 그 상징성을 추구하는 인생지향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Yuan dynasty (1271-1368) in China, there were pronounced developments in painting themes symbolizing principled and moral gentlemen. At that time, members of the literati who failed to retain government posts retired from public life to live in seclusion, dedicating their time instead to painting and writing poems in pursuit of purity and loftiness of heart. Chan monk Xuechuang Puming (雪窓 普明, unknown-c.1352) also expressed the spirit of the time through ink paintings of orchids, which was the preserve of literary noblemen. In his ink paintings of orchids, Xuechuang reflected the symbolic connotations of orchids such as “gentlemen,” “loyalty,” and “fidelity,” which were propagated by Confucius and Qu Yuan. Thus, the archetype of Xuechuang’s ink orchid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creation of ink orchid paintings not only by the kings and literary noblemen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by Zen monk-painters in Japan.
    Xuechuang began painting after having entered into monkhood at Yuanjuesi. During his stay at Yunyansi Temple, he compiled the first collection of ink paintings of orchids titled Hualan bifa ji (畵蘭筆法記, Notes on brush techniques for painting orchids). In particular, his sojourn at Yunyansi and Shengtiansi Temples saw the artist exerting his outstanding talents to produce prolific paintings of ink orchids. Xuechuang also exchanged paintings and letters with a number of his peers including Huiji Yuanxi (晦機元熙), Zhao Mengfu (趙孟頫), Zhao Yong (趙雍), Yu Ji (虞集), Ke Jiusi (柯九思) and Li Qi (李祁).
    The literati of this era were highly appreciative of “Xuechuang’s orchids” in recognition of Xuechuang’s stylistic influences from Zhao Mengfu and Zhao Mengjian (趙孟堅). Indeed, Xuechuang shared similarities with the Zhao family in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materials used. However, Xuechuang made himself distinct from the Zhao family’s painting styles in his depiction of the leaves, petals or pistils that define ink orchid paintings, and other elements such as rocks and bamboo. This earned his ink paintings the exclusive title “Xuechuang’s Orchids.” The collection Hualan bifa ji is Xuechuang’s treatise on composing ink paintings of orchids, which no longer has any extant copies. However, Hualanfa (畵蘭法, Techniques for painting orchids), which was included in the book titled Jingzhai Zhizheng zhi ji (靜齋 至正直記, Records on various systems of the Yuan Dynasty), was later confirmed as the abridged version of Hualan bifa ji and eventually became recognized as the first collection of ink orchid paintings.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compilations of ink paintings portraying plum blossoms and bamboo became commonplace, which has allowed in-depth research on the said genres of ink paintings to the present day based on historical painting collections. In contrast, the research on ink paintings of orchids has made little progress due to the absence of such materials. For this reason, Xuechuang’s Hualanfa, which contains meticulous descriptions on how to draw ink orchids, is considered a crucial primary historical source as the first collection of its kind in the study of ink orchids.
    Since Xuechuang left no records of his artwork,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artist’s intentions behind his paintings. However, it is possible to gain a glimpse into his philosophy on paintings through recurring inscriptions in his works such as ‘Jiuwan yufen (九畹餘芬 , Lingering fragrance in Jiuwan),’ ‘Guangfeng shuanhui (光風轉蕙, Orchids bending in the wind),’ ‘Xuanya shuangqing (縣崖雙淸, Orchids on a cliff in shared harmony), ‘Xuanya you fang (懸崖幽芳, Enchanting fragrance of orchids on a cliff), as well a phrase he used as his seal ‘Wuwai qingle (物外淸樂, Standing aloof from worldly affairs and enjoying purity in life)’. In short, he aimed to apply the symbolism of orchids as once sung and praised by Confucius and Qu Yuan into his own life. He internalized the spirituality of orchids beyond their botanical form, while depicting his intent to promote the symbolic aspects of orchids in his life through ink paintings of orchi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