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3
29P 미리보기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5권 / 265호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장인석

    초록

    華山館李命基(1756-1802년 이후)는 正祖代에 활약한 화가이다. 圖畵署畵員으로 肖像畵분야에서國手라 평가받으며 발군의 기량을 드러내었다. 그는 정조의 어진에서부터 대신과 정승들의 영정,혹은 옛 초상화를 다시 모사하는 것까지 모두 담당하였다 할 정도로 文·武臣들의 초상화를 다수 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명기에 대한 연구는 그가 그린 각각의 초상화에 대한 단편적인 해석에만 머물러 있을 뿐, 그의 행적과 화풍을 연결지어 작품세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새로이 발굴한 자료를 통하여 화산관 이명기의 生涯를 복원하고, 그의 作品世界를 조명해 보았다.
    이명기는 1756년 화원 李宗秀의 장남으로 출생하여, 도화서의 초상화 전문화원으로 평생을 보냈음이 확인되었다. 이명기대에 이르러 開城李氏는 아버지 이종수와 장인 金應煥, 동생 李命奎, 매제 許容등 화원 간의 통혼관계에 따른 화원가문을 형성하였다.
    이명기의 회화는 초상화가로서의 그 명성이 대변해 주듯이 초상화에 집중되었고, 그의 개성적화풍이 확실히 드러나 있다. 선묘를 중심으로 하여 대상인물의 傳神을 표출하고자 하였던 선배화원들의 화풍에 비해 입체감이 강조되어 있다. 이는 음영법과 투시도법의 시도, 즉 서양화법의 수용으로 나타난 특징이다. 이러한 이명기의 초상화 화풍은 현전하는 작품들이 말해주듯이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초상화법의 정형이 되었고, 후배 화원의 모범이 되었다. 그러나 공급자와 수요자의 요구및 시대적인 흐름에 의해 그의 사실감 넘치는 초상화법은 더 이상 계승, 발전되지 못하고 19세기 중반 이후 초상화법은 쇠퇴의 길을 걷는다.
    이명기는 초상화 이외에 다수의 산수인물화도 남겼다. 그의 산수인물화는 당시 일종의 시대양식처럼 화원들에게 계승되었던 金弘道의 화풍을 따르고 있고, 唐詩나 故事를 화제로 한 고사인물화에 집중한다. 또한 현전하는 이 작품들은 모두‘華山館’이라 관서하고 있어 1793년 장수도 찰방 부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명기의 산수인물화는 섬세하고 사실감 넘치는 초상화 대가로서 이명기의 새로운 회화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논문은 이명기의 생애를 보다 확실하게 밝혀내고 그의 작품세계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것에 중심을 두었다. 그간 정리되지 않은 이명기의 작품세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는 데 의의가있다. 추후 새로운 사료 및 작품의 추가발굴을 통해 보다 정확한 이명기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고찰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Yi Myeong-gi (1756-1802 or thereafter), known under his penname“Hwasangwan,”is a Korean painter of the Joseon Dynasty who lived in King Jeongjo’s time. A court painter, Yi stood out especially for his talent in portraits. He was a prolific portrait artist, who painted portraits of the king and high-ranking court officials. He was also in charge of recopying ancient portraits. In spite of his notable career as a court painter, Yi Myeong-gi has thus far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scholarship, concerning both his life and artistic universe. The study concerned with Yi Myeong-gi is primarily focused on his paintings, and a comprehensive attempt at understanding his artistic career as a whole is yet to be made. This study is precisely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life of Yi Myeong-gi from newly-discovered sources and to offer insights into his artistic universe.
    Yi Myeong-gi, a court painter named Yi Jong-su’s eldest son, was born in 1756 and spent most of his adult life as a court painter, following in his father’s footsteps. By his generation, Yi Myeong-gi’s family had influence on court painters. His younger brother Yi Myeong-gyu and his brother-in-law Heo Yong were also court painters. A court painter family marring someone who was in a court painter family was not uncommon at that time.
    As you know, Yi Myeong-gi’s career as a painter was centered on portraits, most of which carry his distinct stylistic hallmarks. Unlike works by court painters of preceding generations,relying heavily on contour lines and focused on the moral and spiritual dimension of a sitter,his portraits are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volume and depth. His portraits incorporat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light and shadows and perspective. As attested to by his surviving works, Yi Myeong-gi’s style became the norm of portrait painting in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came to be emulated by court painters of subsequent generations. However, his realistic portrait style and techniques eventually fell out of favor, as demand for portraits of this kind decreased, and his legacy slowly faded starting from the mid-19th century.
    Yi Myeong-gi’s body of works also includes quite a few“figures-in-a-landscape”-type paintings. His“figures-in-a-landscape”-type paintings were done in the style of Kim Hong-do,which was, then, a dominant trend among court painters, and most of the paintings were thematically related to Tang poems, ancient legends, and historical narratives. All surviving works of his are, meanwhile, signed by“Hwasangwan,”a government office name, suggesting that they were produced after 1793 when he was appointed‘Chalbang (an official in charge of a horse relay station)’of Jangsu-do. His figures-in-a-landscape paintings reveal a lesser-known aspect of this artist, mainly remembered for realistic portraits with meticulous facial and bodily details. As an attempt to gain a further understanding of Yi Myeong-gi’s life and artistic career,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s his body of works as a whole. Future research should complement the insights gained in this study, if new facts about his life or unknown works of his are discov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