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定齋 柳致明 종가 3대의 독립운동 (Independence Movement of Ryoo Chee-Myeong’s Head Family for Three Generations and its Historical Statu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定齋 柳致明 종가 3대의 독립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희곤

    초록

    정재 류치명(1777~1861)은 퇴계학맥의 정맥을 이은 대학자요, 1800년대 퇴계문화권을 대표하는 학자였다. 그러한 위상을 가진 집안이었으므로, 역사적인 격변 시기에 주어지는 역사적 부담과 역할을 흘려 지날 수는 없었다. 외침에 맞서기 시작한 때는 류치명의 아들 류지호(1825~1904)부터다. 그를 이어 손자 류연박(1844~1925)과 류연성(1857~1919), 증손자 류동시(1886~1961)와 류동저(1892~1948)로 이어지는 3대가 독립운동에 나섰다. 이 연구는 이들 3대의 독립운동을 추적하고 그 역사적 위상을 정리하는 데 목표를 둔다.
    한국 독립운동의 출발점은 의병이다. 거기에 류지호가 참가하면서 정재 종가의 독립운동은 시작하였다. 1895년 12월 안동에서 의병이 일어날 때, 류지호가 지도자로 움직였고, 아들 류연박은 그 이듬해까지 전개된 안동의진의 참모를 맡아 활약하였다.
    의병항쟁의 다음 단계가 구국계몽운동이다. 안동에서는 협동학교와 대한협회 안동지회 활동이 두드러졌다. 정재 종가 사람들은 협동학교에 기여하였다. 특히 나라를 잃은 뒤 협동학교 주역들이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만주로 이동하자, 협동학교를 도맡은 사람들이 바로 무실마을 전주류씨 문중이었다. 협동학교가 정재 종가로 이전한 것이 이를 말해준다. 이는 정재 종가의 성향이 위정척사에서 애국계몽운동으로 전환했음을 말해준다. 새로운 시대의 인물들을 키워내는 데 종가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종가 주인 류연박의 선택이 결정적이었을 것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류연박·류연성 형제, 류연박·류동시 부자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임동 챗거리시장에서 벌어진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의 계기를 만든 사람이 류동시이고, 그것을 꽃 피운 사람이 류연성이었다. 특히 류연성의 활약은 임동 만세운동이 전국에서도 보기 힘들만큼 강한 투쟁을 이끌어냈다. 같은 무렵에 류연박은 ‘파리장서’에 참가하였다. 이는 파리에서 열리는 강화회의에 유림들이 나서서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독립청원서’를 보낸 것이다. 여기에는 그의 류연박의 사위 김세동도 자금을 모아 힘을 보탰다.
    1920년대에 들어 류연박의 둘째 아들 류동저가 청년운동과 사회운동을 통해 대를 이었다. 그는 안동청년회에 참가하여 강의하고, 토론을 이끌기도 했다. 특히 그가 조선노동공제회 안동지회의 총간사를 맡았다. 조선노동공제회는 한국 최초의 노동운동조직이다. 노동자도 아닌 양반 집안 청년이 초기 노동운동을 이끈 것이다. 이 사실은 초기 노동운동이 단순한 노동운동이 아니라, 민족문제를 해결하려는 독립운동의 차원의 것임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계몽운동에서 사회운동으로 전환한다는 말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3세대가 1920년대 중반 이후로는 저항운동을 지속해 나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정재 종가는 퇴계문화권에서 가지는 역사적 위상이 대단히 높았다. 그 위상은 역사적 부담이기도 했다. 정재 후손 3대는 이를 결코 피하지 않고, 맞서 나갔다. 그 성격도 위정척사에서 애국계몽운동으로, 다시 사회운동이라는 3단계로 이어졌다. 이들의 활동은 나라를 지키고 되살리는 것이자, 역사적 책무를 다하려는 투쟁이었다. 정재 종가의 독립운동은 전통적인 유림 집안이 대를 이어가며 민족문제에 맞서 나간 대표적인 사례에 속한다.

    영어초록

    Jeongjae Ryoo Chee-Myeog (1777~1861) who succeeded to Toigye school ties was a prominent scholar representing Toigye cultural area in 1800s. As his family held such a high status, it could not turn its role and load away during times of historical rapid changes of the situation. Ryoo Ji-Ho (1825~1904), Ryoo’s Chee-Myeong son started to stand against external invasion, and his grandsons, Ryoo Yeon-Bak (1844~1925) and Ryoo Yeon-Seong (1892~1948), and his great-grandsons, Dong-Si Ryoo (1886~1961) and Dong-Jeo Ryoo plunged into 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is, three generations sta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study, I traced their independence movement and aimed to sort out its historical status.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s Ryoo Ji-Ho participated in i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Jeongjae’s head family started. When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was raised in Andong in Decemeber, 1895, he participated in the army as a leader, and his son, Ryoo Yeon-Bak played an active part in Andong army camp as a staff officer.
    The next sta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a save-the-nation enlightenment drive. Hyeobdong school and Andong branch of Daehan Association worked actively in Andong. The people in Jeongjae’s head family contributed to Hyeobdong school. Particularly, as the leaders of Hyeobdong school moved to Manchuria in order to establish a base for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Ryoo family in Moosil village, originated from Jeonjoo, took over the school. Due to this, Hyeobdong school could move to Jeongjae’s head house. This means that the disposition of Jeongjae’s head family changed from “keeping the right way and studies and casting by evil studies” to the save-the-nation enlightenment drive. His head family played a crucial part in cultivating talented people suitable for the new era. Of course, the choice of Ryoo Yeon-Bak , the head of the main family was decisive.
    The activities of the two brothers, Ryoo Yeon-Bak and Ryoo Yeon-Seong, and father and son, Ryoo Yeon-Bak and Ryoo Dong-Si were remarkable. The person who pushed the butt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hurrah movement arisen in Imdong Chatgeori market was Ryoo Dong-Si, and it was flowered by Ryoo Yeon-Seong. Particularly, the hurrah movement in Imdong drew very strong struggle which could not be compared to any other movement in the country. Ryoo Yeon-Bak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to send a long letter to Paris Peace Conference” around that time. The Confucian scholars sent a long letter to Paris Peace Conference asking Korea’s independence, and Ryoo Yeon-Bak and his son-in-law, Kim Se-Dong supported the campaign through fund raising.
    In 1920s Ryoo Yeon-Bak’s second son, Ryoo Dong-Jeo carried on his family line by participating in a youth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He participated in a young men’s association in Andong and would give a lecture and led a discussion there. Also he assumed the post of the general secretary of Andong branch of Joseon Laborer Mutual Aid Association which was the first organization of a labor movement in Korea, that is, a young man from a family of a nobleman, not from the working class led the early labor movement. This means that the early labor movement was not a simple labor movement, but a movement for national independence to settle a national matter, and this means the change from an enlightenment movement to a social movement.
    The historical status of Jeongjae’s head family was very high in Toigye cultural area. Such a high position was a historical burden for the people of the family. Three generations of Jeongjae’s family did not avoided it, but faced it, and their activities changed from the campaign “keeping the right way and studies and casting by evil studies” to the save-the-nation enlightenment drive, and then to the social movement. Their activities were the struggle to protect and restore the country as well as to fulfill their historical obligations.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Jeongjae’s head family was one of the typical cases that traditional Confucian family faced a national matt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