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明代 寺觀壁畵 製作技術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processes of Temple Murals of Ming Dynast in Chin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12
18P 미리보기
중국 明代 寺觀壁畵 製作技術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1호 / 183 ~ 200페이지
    · 저자명 : 한경순

    초록

    4세기에 불교의 전파로 많은 사원과 관련벽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사찰벽화로 그 시기가 이른 것들은 高麗 末 朝鮮 初인 14, 15세기이며 대부분의 사찰벽화는 조선 후기인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 들이다. 중국 明代의 사관벽화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가 적어 연구의 어려움이 많은 이른 시기의 한국 사찰벽화의 제작기술을 규명하는 것이다. 적은 양이 남아있는 우리의 현실에 비해 동시기인 중국 명대에는 남아있는 사원은 매우 많다.
    필자는 최근까지 중국 산시 성을 중심으로 명대의 사관벽화의 제작방법과 재료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로 산서지역 전체 사관벽화의 분포현황과 시대별 사관벽화의 제작기술에 대한 특징을 연구(강좌미술사, 26호, 2권, 2006)하였고 이번 연구는 명대를 중심적으로 조사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중국 전체에 남아있는 명대의 사관벽화는 과거에 비해 화면의 구도나 인물조형 등이 매너리즘에 빠진 작품들로 평가되는데 필자가 살펴본 명대 사관벽화는 전대의 금이나 원대 벽화에서 느낄 수 있는 생동감을 계승하였고 어떤 면에서는 발전시켰다고 평가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명대의 독특한 채색기법을 꼽는다면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서양의 템페라 종교화에서 볼 수 있는 입체선 제작에 금박으로 마무리한 점이다. 명대 이전과는 비교 할 수 없는 보다 화려하고 섬세해진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명대의 서양식 음영기법이라 할 수 있는 윤곽선 바림기법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선적인 묘사와 평면적인 채색에서 음영을 이용한 입체효과를 일반회화가 아닌 종교벽화에서 표현한 점이다.
    중국의 사관벽화를 조사하면서 보존성에 놀랐는데, 벽체제작에 사용된 흙벽돌이나 날벽돌로 쌓은 벽은 계절별 온, 습도변화에 적응력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습기와 열기가 벽체 내부에 쉽게 흡수되고 발산되는 구조적, 재료적 장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흙벽돌이나 날벽돌로 쌓은 벽의 수축률은 벽 외부를 마감한 벽체의 진흙과 가깝기 때문에 벽체 층간에 수축률이 달라 생기는 균열과 박락을 막아주며 자연스러운 통기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벽체가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어 벽화도 수명이 길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고대의 사관벽화를 지금도 볼 수 있는 이유가 이러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벽체제작기술이 이유일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이른 시기의 한국 사찰벽화에 대한 제작기술 관련연구는 중국에 비해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는 남아있는 절대수가 매우 적은 탓일 것이다. 그로 인해 전통재료와 제작기술에 대한 세세한 연구의 한계는 있으나 명대 사관벽화에 비취 볼 때 우수한 기술이 국내에서도 존재했을 가능성은 높다. 한국의 경우, 외부 물리적 피해가 없었더라면 많은 사찰벽화가 남아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적은 수의 사찰벽화에서도 명대벽화의 우수한 토벽기술을 발견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한 점에서 명대 또는 그이전의 기술을 계승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believed that wall paintings was essential element in the most buddhist temples since the first temple was constructed in the 4th century in Korea. However the earliest remaining paintings are the ones of the 14th or 15th century due to the traditional practice of renewing wall paintings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or repairing a timber building. Therefore, most buddhist wall paintings remained in Korea are the ones which was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or later periods so that it has been difficult for the present conservators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earlier wall pain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wall paintings during the Ming period, is to identify that of Korean buddhist wall paintings. Compared to the lack of the Korean one, there are many remaining examples of the buddhist wall paintings of the Ming's in China along with the related records so that they can be useful referencing information to study of the Korean one.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the author had examined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Chinese buddhist wall paintings in the Shanxi province(The Journal of , Vol 26, 2006). As a next step to focus on a specific perio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wall painting techniques of the Ming period. Based on the field survey in 20009, it has studied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materials applied to the wall paintings of the Ming period, aiming at deducing that of Korean buddhist wall paintings during the early of the Joseon Period.
    Murals in temples of the Joseon era were produced with wooden materials for characteristics of a wooden structure. Wall production had the horizontal material, cornice, crossing of column to column, and wooden material, called the "reinforcing post", installed as vertical material. With the completion of frames for central walls, straight and sturdy tree branches were set in a cross shape and this is called lath strips, and the basic frame was completed with the knotting of the area with straw rope.
    On the traditional coloring method of murals in temples,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Secco Technique, the opposite concept of the Fresco Technique. This is the expression applied from the western-style mural production technique, but Korea's production technique of mixing the pigment and medium on the dried wall is sufficient. For the medium, glue and fish glue are mainly used, as described earlier.
    Once the painted wall is completed, the ocher soil or noe-rok is used for the base painting.
    Then, the painted side, namely the ground, is made. The ground painting is not a work to be finished all at once, but involves several repetitions of 3~10 times on the thickly-made ground color to build up a stable and soft ground painting. The painting is drawn on a ground color such as this, and small holes are made following the preparatory drawing on paper. This preparatory drawing is attached to the wall and a powder bag, with the face powder or red pigment powder, is pounded in order for the powder to disperse out of the holes to show the sketch of the painting on the wall. This is referred to as pounced drawing. The painter then draws lines with a brush along it, and the coloration is applied to finish the painting. However, a skilled painter would not go through the pounced drawing, but would draw the sketch directly in Chinese ink. The method of coloring to obtain the color of the desired density by several applications would suffice, and conservation lasts very long as well. The sequence of painting has the first application of a dark color such as red, green, or blue, and the bright colors that tend to become discolored easily, such as yellow or white, is applied later. If the simple painting is repeated, it can be simply processed in work divisions for each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