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동 지역에 투영된 陶淵明 형상 고찰 (A Study on the Shape of Taoyuanming in Andong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4
23P 미리보기
안동 지역에 투영된 陶淵明 형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2권 / 1호 / 111 ~ 133페이지
    · 저자명 : 최우석

    초록

    본고는 안동 지역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여러 문화유적 및 문인들의 시문(詩文) 속에 투영된 도연명(陶淵明)의 형상을 고찰하는 것을 주지로 삼는다. 먼저 안동의 명승지로 손꼽히는 안동팔경(安東八景) 가운데 ‘귀래정(歸來亭)’, ‘임청각(臨淸閣)’, ‘도산서원(陶山書院)’ 등이 모두 도연명의 은일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특히 ‘임청각’을 세운 이명(李洺)의 아들인 이굉(李肱)은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은거하였고, 또 그의 아들인 이용(李容)은 ‘어은정(漁隱亭)’을 지어 은거하는 등, 3대(代)에 걸쳐 도연명식 은일을 실천하기도 했다.
    안동 지역은 도연명이 그러했듯이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의 뜻을 이루는 중요한 공간이 되어 주었던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안동 지역에서 은거를 실행했던 은사(隱士)들의 사상적 배경에는 도연명의 형상이 곳곳에 스며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안동 지역에 투영된 도연명의 형상은 <귀거래사>로 크게 대변되고 있었다. 실제로 안동 지역의 중요 문화재인 ‘귀래정’, ‘임청각’, ‘반구정’, ‘어은정’, ‘은자암’ 등은 모두 도연명의 <귀거래사>로 대변되는 은일 형상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또한 농암 이현보와 퇴계 이황은 더욱 직접적으로 도연명의 ‘귀거래’를 흠모하며 실천하기도 했다. 특히 농암과 퇴계가 창작한 시문(詩文) 속에는 도연명에 대한 추앙의 뜻이 매우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었다. 물론 이러한 점은 후세 안동 지역의 은일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building focuses on the intensive consideration of Taoyuanming's figures projected into the verses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and writers found in the Andong area. First of all, among the famous places of Andong, ‘Giraejeong,’ ‘Imcheonggak,’and ‘Dosan-Seowon’ were all deeply related to Taoyuanming's ‘Yinyi’ In particular, Yi Gong, the son of Yi Meong, who founded Imcheonggak, built and hid Ban Gujeong, and Yi Yong, his son, Eo Eunjeong, and lived in hiding.
    The Andong area, as Taoyuanming did, was an important place to step down from office and form a silver lining. Particularly noteworthy,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onks who implemented the hiding in the Andong area was permeated with the shape of Taoyuanming. In fact, the important cultural assets of the Andong region, ‘Gwiraejeong,’ ‘Imcheonggak,’ ‘Bangujeong,’ ‘Eoeunjeong,’ and ‘Eunjaam,’ were all deeply related to the silver-day shape represented by Taoyuanming's ‘Guiqulaici.’ In addition, Nongam Yi Hyeon-bo and Toegye Yi Hwang practiced more directly with the admiration of Yinyi of Taoyuanming. In particular, in the poem created by Nongam and Toegye, the meaning of mourning for Taoyuanming was very directly revealed. Of course, it is easy to assume that this would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ilver culture of the later Andong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