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 張良相의 南海 <東征磨崖碑> 고찰 (A Study of “Dongjeong maae bi(東征磨崖碑)” built by Zhang Yangxiang(張良相) in Namhae(南海))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3
24P 미리보기
명 張良相의 南海 &lt;東征磨崖碑&gt;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8호 / 143 ~ 166페이지
    · 저자명 : 박현규

    초록

    본 논문은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수군 장수 張良相이 한반도에서 활동한 행적과 유적에 대해 고찰했다.
    장양상은 당초 정유재란 초기 명 군부가 대규모 수군을 파견하는 작전에 따라 한반도에 들어올 계획이었으나, 사실상 전쟁이 끝난 뒤인 1599년(선조 32) 5월에 수병 1천 5백 명을 거느리고 한반도에 들어왔다. 그 후 鰲川의 忠淸水營, 南海의 南海倭城 등을 거쳐 부산 해역으로 나가 일본군이 다시 바다를 건너오는 것을 방어하는 작전에 나섰다. 1599년(선조 32) 10월에 명군 철수 계획에 따라 수군을 거느리고 귀국 해로에 나섰다가 계절의 영향으로 한동안 황해도에 머물었고 이듬해 여름에 한반도 해역을 벗어나 중국 대륙으로 들어갔다.
    1599년(선조 32) 10월에 남해 船所 바닷가에 명 수군의 전승기념비 성격을 띤 <東征磨崖碑>를 세웠다. 장양상이 <동정마애비>를 세운 목적은 한편으로 명 수군이 세운 위업을 만방에 널리 알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 자신도 명 수군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는 숨은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동정마애비>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 <釜山平倭碑銘>이 있다. 조선 실록사관은 <부산평왜비명>이 실제 공적과 어긋나고 헛된 명성만 추구한다고 비판을 가했다. 18세기 이후에 조선 인사들이 행한 <동정마애비> 평가는 反淸崇明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영어초록

    I in the article studied the deeds of Zhang, Yangxiang, a naval general of Ming who joined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while he was active in Korea and related relics.
    Zhang, Yangxiang had planned to enter into Korea complying with a strategy of dispatching the naval forces on a large scale in the early period of Jeongyu War, but entered into Korea with 1,500 of the naval forces in May 1599(the 32nd reign year of Seonjo) when the war was actually already ended. Later on, he passed through the naval camp of Chungcheong Province(忠淸水營) in Ocheon(鰲川), Namhae(南海) walled cith built by Japanese people, executed defensive operations in Busan sea area but he did not distinguish himself in war. In October 1599, he made a trip back to his homeland leading naval forces according to withdrawal plan of Ming troops. However, he obliged to stay in Hwanghae Province for a while because of seasonal influence and left Korea in the next summer.
    In July 1599, Zhang, Yangxiang composed 4 poems when he ascended to Yeongbo jeong(永保亭) located at the naval camp of Chungcheong Province in Ocheon. In October 1599, he also erected “Dongjeong maae bi(東征磨崖碑)” which assumed the nature of a war memorial by the sea of Namhae. Zhang through the war memorial intended to show off the great achievement of Ming troops and his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There is “Busan pyeongwae bimyeong(釜山平倭碑銘)” which has the similar nature with “Dongjeonh maae bi.” An official historian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criticised “Busan pyeongwae bimyeong” in that it did not identical with the actual accomplishment and sought to false reput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Dongjeong maae bi” and Zhang, Yangxiang earned positive reviews in the trend of the time that dissenting Qing and revering 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