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今名作歌』의 편찬 체재와 작품 수록 방식 (A Study on the Publication System and Work Inclusion Method of Gogeummyeongjakg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5
29P 미리보기
『古今名作歌』의 편찬 체재와 작품 수록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29권 / 85 ~ 113페이지
    · 저자명 : 허영진

    초록

    이 글은 18세기 전반의 가집으로 알려진 『고금명작가』의 편찬 체재와 작품 수록 방식을 분석하여 그 실상을 명확히 드러내고, 초창기 가집으로서 지닌 의미를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금명작가』는 선문대 중한번역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편찬자 미상의 필사본 가집으로 18세기 전반의 가집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이름난 훌륭한 작품의 노랫말”을 수록한 『고금명작가』의 실상을 파악하고, 가집사적 위상에 관해서 논의해 보았다. 먼저 가집의 실상에 관한 이해를 위하여 편찬 체재를 정밀 분석하여 ‘古今’의 ‘名作’이 뜻하는 바가 무엇이고, 또 그것의 노랫말[歌]이 어떻게 수록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작품이 다수의 문헌에서 漢譯되어 漢詩로 소개된 18세기 전반의 작품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의 수록 방식을 검토하여 초창기 가집으로서 『고금명작가』의 특징과 가집사적 위상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의 논의를 요약하면, 『고금명작가』는 의도적으로 비슷한 내용의 작품을 연속 수록하고자 했고, 내용별로 모든 작품을 분류한 최초의 가집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hed clear light on the publication system and work inclusion method of Gogeummyeongjakga, an anthology published in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rough analysis and find its meanings as an early anthology. Gogeummyeongjakga is a manuscript anthology whose publisher is unknown and which is housed at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of Sun Moon University, holding important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anthology history of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acts of Gogeummyeongjakga that contained the “lyrics of great and renowned works from old times to the present” and discusse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anthologies. The investigator first analyzed the publication systems of anthologies and looked into what the masterpieces of all ages would mean and how their lyrics were included in th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s of antholog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st of the works were masterpieces created in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at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introduced as Chinese poems in many pieces of literature.
    The study also reviewed the inclusion methods of works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Gogeummyeongjakga as an early anthology and is status in the history of anthologies. A summary of the discussion results reveals that Gogeumm- yeongjakga included works of similar content consecutively on purpose and is thus understood as the first anthology that classified its entire works by the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