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의 固有語 官職名語彙 小考 (A Study on the Vernacular Terms of the Official Posts Titles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of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2.06
24P 미리보기
三國의 固有語 官職名語彙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2권 / 35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상윤

    초록

    「삼국사기 직관상」에는 고구려․백제․신라의 관직명이 나타나 있다. 본고는 이 관직명에서 찾아볼 수 있는 차용표기로 이루어진, 고유어 관직명 어휘를 분석하여, 이를 고대국어 어휘체계와 음운체계 연구에 일조코자 한다.
    삼국의 관직명을 살펴보면, 그 어휘 형성이 대체적으로 중국의 직관과 일치하는 점이 많다. 무엇보다도 官等을 品階로 표시한 것을 비롯하여, 동일명의 관직명 어휘가 허다하다. 또한 어휘형성에 있어 접두어․접미어적 특성이 있는데, 이는 일찍부터 중국의 문물의 영향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그 반면 이러한 관직명 어휘에는 지명이나 인명에서처럼 많은 것은 아니지만, 차용표기로 이루어진 고유어 관직명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삼국이 同軌語 관직명을 異寫表記하였는데, 이는 높은 국어의식의 발로라 하겠다.
    고구려의 관직명 어휘를 살펴보면, 고구려는 일찍부터 직관이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직관은 「삼국지․周書․隋書․통전․신당서」 등과 같은 고기록에 보이는데, 이는 각각 등급과 명칭에 차이를 두고 있다. 관직명에는 ‘對盧․烏皂․兄․使者․皂衣․先人’ 등을 근간으로 하여, 여기에 접두어나 접미어를 사용하여 14품의 관직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관직명은 신라의 관직명처럼 순수 고유어명이 아니라, 한자어와 고유어의 관직명이 혼합되어 있다. 난해의 관직명은 생략하고 해독이 가능한 고유어 관직명만을 대상으로 삼았다. 차용표기된 고유어 관직명 어휘로 ‘相加-古鄒加-烏拙-小兄-小使者-仙人-褥薩’ 등을 예거하였다.
    백제의 관직명은 고구려나 신라에 비하여 비교적 단일하고 정제된 편이다. 1품인 ‘佐平’을 제외하고는 2-6품까지는 ‘-率’ 접미어로, 7-11품까지는 ‘-德’으로 그 이하는 ‘督․ 軍․ 武․ 虞’ 등의 접미어로 이루어져 있다. 차용표기된 고유어 관직명 어휘로 ‘佐平’을 비롯하여 ‘-率’ 접미어 ‘達率’과 ‘德率’만을 예거하였다.
    신라의 관직명은 순수 고유어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연원이 오래임을 짐작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한자의 차용표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사표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제3대 유리왕대에는 직관을 17등급으로 분류하고 1-9품까지는 ‘尺’과 ‘干’의 합음인 ‘飡’(粲)을 접미하였다. 차용표기된 고유어 관직명 어휘로 ‘伊伐飡-伊尺飡-迊飡-波珍飡-阿飡-一吉飡-沙飡-級伐飡-大奈麻-大舍’ 등을 예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official title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of characteristics and analyse for vocabulary. It seems that there had been lots of influence of China on the titles of official posts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of korea. Such influences can be seen very clearly in the titles or the terms of official ranks, especially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ffixes and suffixes. This probably resulted from the Chinese systematic influences for a long time from the earlier periods of Zhou and Han Dynasties down to the modern periods Sui and Tang Dynasties. However, our three ancient kingdoms must have established their own unique conceptions concerning the official post and its title and term.
    At the earlier times in Goguryeo they developed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according to the official regulations, established the official titles of 14 ranks by adding affixes or suffixes to the five basic titles, ‘對盧 ‧ 兄 ‧ 使者 ‧ 皂衣 ‧ 先人’. In the Baekje they had relatively a simple and refined system in comparison with those of Goguryeo and Shilla, so they, excepting the 1st rank ‘佐’, added suffix ‘-率’ to the rank from the 2nd to the 6th, ‘-德’ to those from 7th to 11th, and added such suffixes as ‘督 ‧ 軍 ‧ 武 ‧ 虞’ to the lower ranks. On the other hand, in Shilla they used purely their own vernacular language in expressing their official titles, which might have quite a long history. On the whole theirs are characterized by using expressions with several different characters to mean the same, mainly owing to their adoptions from the Chinese characters only in sound. Especially in the era of the third king Yuri, they divided the official ranks into 17 grade and to the ranks from the 1st to the 9th added suffix ‘湌 or 粲’ which is a complex sound of ‘尺 and 干’.
    If we look into the vocabularies expressing the official titles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in common. Above all, the titles of the official posts in the three kingdoms Goguryeo, Baekje, and Shilla consist of the same orbital or level languages. presumably it is chiefly due to their sharing certain common features with each other in the cultural and lingual phenomena despite the influences of Chinese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