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淸時代 안경의 전파와 유행 (The Circulation and Trends of Eyeglasse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6
31P 미리보기
明淸時代 안경의 전파와 유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47권 / 1 ~ 31페이지
    · 저자명 : 한지선

    초록

    안경은 유럽의 기술적 진보와 서구 학문과 문명이 본격적으로 동아시아에 파고들었음을 보여주는 단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문명 교류의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육로가 쇠퇴하고 해로가 각 문명권을 연결하는 주요한 노선으로 등장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전입된 안경은 중앙 아시아를 거쳐 15∼16세기부터 유입을 확인할 수 있다. 비단과 끈으로 고정하는 일정한 형태를 취하는 이 안경은 유럽에서 발전했던 코안경과는 다른 형태의 것으로 ‘서역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안경의 발명이 유럽에서 이루어진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아랍반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를 통해 중국에 전입되었던 안경은 비단으로 묶어 고정시키는 볼록렌즈의 안경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유럽의 안경스타일과는 다른 형태를 띠었다.
    만력 이전에는 안경의 취득이 일정한 상거래에 의해서 였다기보다는 우연한 기회에 매득하거나 증여받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보급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만력 연간 중국내에서 모방 제작자들이 생겨나고 모방 제품이 보급되면서 안경에 대한 관심은 급증했는데 특히 수정으로 제작된 서역식 안경은 고가로 거래되곤 했다. 그러나 17세기 말부터 서양으로부터 오목렌즈의 근시경이 보급되면서 안경의 선택에 변화가 일어났다. 근시안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던 독서인들은 근시경에 대해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기능에 따라 유리로 제작된 안경을 선택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기까지 서역식 안경은 여전히 주류를 이루었으나 곧은 다리를 가진 오목렌즈의 유럽식 안경이 도입되자 근시안의 독서인들이 이를 기꺼이 패용하게 되면서 더 이상 발전하지 못했다.

    영어초록

    Eyeglasses have a symbolic meaning which represents the period when land routes, which were central to civilization exchange, were replaced by sea routes as keys connecting each civilization as well as a platform which showed that western ideas and civilizations actively permeated into east Asia. Eyeglasses, which had been introduced through both the silk road on land and on sea were introduced to the Ming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y. Those fixed with silk and thread are “the Western Regions(西域) style”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pince-nez style which was developed in Europe. Although eyeglasses were suggested to have been invented in Europe, they were spread through Arabia, Central Asia and Southeast Asia and had convex lenses tied and fixed with silk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pince-nez used in Europe.
    As eyeglasses were accidently acquired or presented as gifts rather than obtained through trade at that time, their supply was limited. However, between 1573 and 1619, as imitation eyeglasses were made and propagated in China, interest in them increased rapidly. In particular, Chinese style eyeglasses made of crystal were traded at a high price. However, as glasses with concave lenses for shortsighted people spread in the late 17th century, changes in their selection occurred. Readers who had difficulty reading due to their short-sightedness welcomed them and began to select eyeglasses made of glass. Nevertheless, the Chinese style eyeglasses were trendy until the 18th century, and when European style eyeglasses with concave lens and straight legs were introduced, short-sighted readers were willing to accept them and Chinese style eyeglasses were developed no lon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