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촌 바람명의 명명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ocabulary related to wind of everyday words at fishing vill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어촌 바람명의 명명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언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언학 / 23호 / 155 ~ 182페이지
    · 저자명 : 박원호

    초록

    바람은 어촌의 기층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람 이름 연구는 바람이 기층 생활과 밀접한 요소인 것을 주목하여 주변의 환경과 결부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소홀히 하고, 바람을 방위 개념으로만 국한하여 조사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이 글은 어촌에서 쓰이는 바람 이름 연구로서,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에서 지역(방위)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이 제보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음을 주목한다.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를 검토하는 데에서 발견한 사실을 토대로 어촌 지역의 바람 이름에 드러나는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달리 나타나는 어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의 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바람이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한 예로 ‘뒤바람’이 대체로 ‘북풍’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서풍’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변 특정 지역에서부터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 이름을 명명하는 ‘사천내기(욕지도)’, ‘원산내기(강릉시)’의 용례로 미루어보아, 각 지역마다 불어오는 지역에 따른 인식도 반영될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조사 지역 안에서 방향에 대한 인지적인 요소에도 주목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지역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 간의 차이는 바람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에서 있어 화자(제보자)의 주관적인 방향 인지 양상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 이름의 연구에서 민족지학적 연구와 그에 따른 인지적 연구가 동반되어 이루어진다면 조어 규칙이나 의미 및 어원에 대한 검증 문제가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조사된 어휘 중 주관적 방향 인지가 나타나는 어휘를 ‘공간’ 개념과 ‘시간’ 개념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안(內: 안마샛바람), 높다(높새바람), 맞다(맞바람), 처지다(처진갈)’와 같은 명칭을, 후자는 ‘늦다(늦마파람), 갈(秋: 늦갈)’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영어초록

    Wind is an important part in basic life at fishing village; thus, study on names of wind need to be thought in conjun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ocusing on close relationship of wind and basic life. However, in the former studies, wind was only studied as concept of wind direction. This study, research on names of wind used at fishing village, focuses on relation of inform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names of wind surveyed in Ethnic Living words Research2, 2013. Moreover, this study discovers the regional difference founded in names of wind at fishing village and examines the meaning of words, based on the result discovered in Ethnic Lving words Research2, 2013.
    According to that book research, some wind has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region. For example, ‘Duibaram’ is usually used as ‘North wind’ while that means ‘west wind’ at east coast of Korea. In the following examples-’ Sacheonnaegi(yokjido)’, ‘Wonsannaegi(Gangneung)’- which name wind by surrounding geographic feature, subdivided wind direction of each region reflects direction recogn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es the necessity of attention to cognitive element of direction in the region. In naming wind method, the difference among wind names surveyed in each region reflects narrators(informants)’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which relates to surrounding environment (geographic feature). If cognitive research is accompanied by ethnographic research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 ‘name of wind’ study, verification problems of coinage, meaning, or origin of words could be solved.
    In this study, words representing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of surveyed words were classified with ‘space’ and ‘time’ types. The former includes ‘An(內: Anmasatbaram), Nopda(Nopsaebaram), Matda(Matbaram), Cheojida(Cheojingal)’ and the latter explains ‘Neutda(Neutmaparam), Gal(秋: Neutg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