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元 멸망 전후의 元·高麗·明 관계 (A Study on Relations among Yuan, Koryo and Ming around Fall of the Yuan Empi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元 멸망 전후의 元·高麗·明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51호 / 121 ~ 152페이지
    · 저자명 : 윤은숙

    초록

    원의 북상 이후 요동을 두고 대립했던 원과 명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위해 고려의 협력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고려가 명과 국교를 개시하자, 원은 톡토부카를 고려왕에 옹립함으로서 고려를 압박해 정요위 공격에 동참시키려 했다. 결국 우왕 책봉을 통해 고려와의 구질서를 회복시키고 원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성립시켰으나, 고려는 정요위 공격에 동참하라는 원의 요구를 수용하지는 않은 채 명과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했다. 따라서 고려는 원과 명 모두에 사신을 파견하는 양면외교를 지속함으로서 동아시아에서는 고려·원·명이 일정정도 삼각균형이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듯 고려와 원의 잦은 왕래는 명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여·원 연합군이 요동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를 입수한 명은 서둘러 丁彦 등의 고려인 358명을 고려로 귀환시키면서 고려를 회유하기 시작했다. 고려도 아유시라다라 카안 사망으로 급격히 원이 쇠퇴하고, 원, 나가추와 고려를 각각 고립시키려는 명의 정책이 큰 성과를 거두자 貢馬 5,000마리를 명에 보내 적극적인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등의 유연한 대외정책을 실행했다. 그러나 1387년 5월에 나가추의 투항과 다음해 4월에 원의 소멸로 14세기말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다원적 관계에서 일원적 관계로 변모함에 따라 초강대국이 된 명은 고려에 대한 유화책을 철회하고 강경책으로 돌변했다.
    명은 원 소멸 전에는 강경책과 회유책을 반복했지만 원이 실재하는 상황에서 주로 對고려정책은 회유책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나가추의 투항과 원의 멸망은 명의 對고려정책를 강경책으로 급속히 변모시켰고, 이것은 고려 멸망까지 지속되었다. 명은 고려에서 파견된 사신들을 구금하거나 입경을 거부했으며, 나아가 고려에 철령위 설치를 통보하는 등의 강도 높은 강경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명의 강경책은 최영의 요동정벌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고려가 멸망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y examining not only Töqtö Büqa's enthronement of king of Koryo Kingdom before fall of Yuan Empire but also Ming's policy toward Koryo Kingdom after fall of Yuan to find out dynamic relations of East Asia that made change from pluralistic order to unitary order.
    Yuan Dynasty appointed ToqtoBuqa to be king of Koryo Kingdom to recover previous order between Koryo and Ming and to let Koryo join attack against Jeongyowi(定遼衛). On the other hand,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dispatched envoy to Ming to keep a certain relations and to keep triangular balance in East Asia.
    Allied forces of both Koryo and Yuan was likely to attack Ming's military base in Liaodung so that Ming gave up previous hard-line policy and started to follow appeasement policy toward Koryo.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as suspicious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hen Yuan Empire lost power rapidly because of not only consecutive death of both Koke Temur and Ayuširidara but also Ming's isolation policy blocking connection among Yuan, Nagachü and Koryo. Koryo positively accepted Ming's imposing of tribute in the name of enthronement of King Uwang. In 1384, Koryo sent as many as 5,000 horses to Ming that was much larger than previous number, and recovered relations with Ming disconnected to take active actions against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Before fall of Yuan, Ming repeated both hard-line policy and appeasement policy and actually often followed appeasement policy. Ming's policy toward Koryo made change to be hard-line policy at Nagachü's surrender and Yuan's fall that lasted until fall of Koryo. Ming detained Koryo's envoy or rejected entering into capital city and notified opening of Cheolryeongwi(鐵嶺衛) in Koryo to follow hard-line policy. Ming's hard-line policy triggered Choi Yeong's conquest of Liaodung to let Koryo f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