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어의 명에 대한 주요 주석 검토 (Revisions on Main Commentaries on ‘Ming’ of Analects of Confuci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3
29P 미리보기
논어의 명에 대한 주요 주석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2호 / 363 ~ 391페이지
    · 저자명 : 고효순

    초록

    본 연구는 공자가 언급한 명(命)중에서 제학자(諸學者)간에 자주 거론된 네 장을 선택하여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들의 견해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삼국시대 하안(何晏)의 『논어주소(論語注疏)』는 고주(古注)로서 명의 사실적 이해에 상당히 유리한 경전이다. 그는 인간이 본성에 충실하고 자신의 위치와 분수를 지켜가며 때를 기다리라고 말한다. 우주만물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순환해 가듯이 인간만사에도 길흉화복의 때가 있으므로 그 흐름을 알고 이치를 따라가는 것이 명이라 하였다.
    남송시대 주희의 『논어집주』는 명에 리(理)개념이 부여된 철학적 의미가 반영되어 있다. 그는 하늘이 사물에 부여한 자연의 바른 이치를 잘 알고 인간의 도리를 지켜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청대(淸代) 유보남(劉寶楠)의 『논어정의(論語正義)』는 내용이 방대하면서도 정밀하여 명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그는 덕행이 운명을 좌우하므로 자신의 사명을 알고 도덕적 수양을 위한 후천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조선후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는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록하고, 글에 대한 반박과 보충을 하면서 독자적 해석을 하고 있다. 그는 생사·길흉화복 등 궁달의 문제에서 인간이 수양하여 덕을 쌓으면 하늘에 이르게 된다고 말하는데 그만큼 덕은 인간 삶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공자는 현실 속에서 ‘도’를 실현하고자 했던 행동인으로서 평생을 도덕적 삶의 교육에 힘썼으며, 명을 모르면 군자와 같은 삶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select four chapters on Confucius’ concept of Ming(命, Moira) which were frequently mentioned by various scholars and to clarify the main opinion of scholars and its meaning. Commentary to Analects of Confucius(論語注疏) written by He Yan(何晏)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an ancient and highly valuable annotation and for realistic understanding of Ming. Following He Yan, one would persist in his nature,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wait for the right time. He also states that Ming is for human being to follow right ways until the right time, as all things in the universe circulate with a certain rule. Philosophical meaning on which the concept of Li(理) is granted to Ming is reflected on Collected Annotations of Analects of Confucius(論語集註) by Zhu Xi(朱熹) of Southern Song. He argues that one should understand nature’s principle granted by Heaven to world and do the right things.
    Standard Annotations of the Confucian Analects(論語正義) written by Liu Baonan(劉寶楠) of Qing Dynasty has extensive contents with great details, which serves as an important research element about Ming. He underlines that one should know his mission and make efforts for moral cultivation as virtuous conducts is more significant than one’s fate. The opinions of various scholars are included in Ancient and Modern Notes of Analects of Confucius (論語古今註) by Jeong Yakyong(丁若鏞) of late Joseon and it both refutes and supplements the scholars while developing his interpretation. He states that one’s virtue can reach the Heaven regarding issues of destitution and advancement such as life, death and right moment if one cultivates moral virtues; virtue plays a significantly important role in human life. Ming may appear in different times but generally, scholars’ common opinion is that one who well maintains order with flow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accumulates virt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can feel at ease even in time of crisis met in life.
    Confucius was a practical doer who strived to realize ‘Dao (道)’ in reality and he thought that one could not live a life of a noble man without knowing Ming. Based on numerous processes that the four scholars experienced on their way to practice and study on Confucius, they suggest human’s will overcomes Ming through moral cultivation and self-awar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