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화 전설과 관련된 蟲名 고찰 - 『광운』의 蟲名을 중심으로 (A Study on "蟲" related to Myths and Legends- Focusing on the bug name of Gwangwo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8
17P 미리보기
신화 전설과 관련된 蟲名 고찰 - 『광운』의 蟲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연구 / 84호 / 153 ~ 169페이지
    · 저자명 : 나도원

    초록

    『廣韻』은 1008년 칙명에 의해 편찬된 운서인데, 이후 『광운』을 줄여 만든 『禮部韻略』은 우리나라에도 전래되어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광운』은 운서로서의 가치 이외에도 山名⋅水名⋅木名⋅蟲名⋅鳥名⋅獸名의 자연물과, 縣名⋅地名⋅州名⋅祭名⋅曲名⋅人名 등의 인위물 등 다양한 물상의 명칭을 기록하고 있어 중고시기 어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이다.
    『광운』의 많은 물명 중에서 蟲名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생물이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해도 비교적 쉬운 부류이다. 하지만 蟲名의 蟲은 단순히 벌레나 곤충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뱀의 모습에서 나온 것이다. 그래서 『광운』의 蟲名에는 파충류와 양서류, 심지어 일부 포유류도 포함된다.
    특히 뱀과, 악어, 자라, 개구리, 두꺼비 등 신화와 전설에 나오는 동물에 대한 설명들은 물과 관련된 생물의 토템에서 비롯된 이야기들이다. 이것은 고대 중국이 장강과 황하 등의 강을 중심으로 문화가 번성하였고, 종족을 이루어왔기 때문으로, 관련된 글자들을 통해 중국인들의 신화적 사유와 관련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虫 is interpreted as a “worm” by Koreans, but 虫 is a letter modeled after a snake, not a bug. China’s ancient civilization revolved around the Yangtze River and the Yellow River, and would naturally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aquatic life. In particular, the highly humid subtropical climate centered on the quantum king was inhabited by many snakes and crocodiles, and the unique and powerful mouth and appearance of crocodiles would have been the object of fear and fear and worship for ancient people. For this reason, the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虫 in China contain many characters representing mythical creatures.
    Mythology is a rudimentary form of thought in which ancient people perceive the outside world.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hunderbolts, fights against predators with large teeth and strong powers, and fear of death and disease have created various myths and these metaphorical ideas by the ‘principle of similarity’ brought about the personification and worship of the feared object. In particular, the custom of worshiping reptiles such as snakes in China created the myth of the dragon, the most important cultural symbol of China. It combined with real politics, it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East Asian culture as a pronoun of the heavenly ruler and a sign of good lu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