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Chosŏn Dynasty and Ming Dynasty through the viewpoint of national rites in the 15th centu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8.11
37P 미리보기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8호 / 39 ~ 75페이지
    · 저자명 : 한형주

    초록

    본 연구는 15세기 朝-明관계를 외교의례의 시행과정과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조공-책봉관계의 성격을 찾아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려 말 여-명 교류는 원명교체라는 대륙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공민왕이 국권 수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양국관계는 명의 세력 확대와 고려의 자주적 입장이 상호 출동하면서 이후 우호와 갈등이 상호 교차되는 과정을 겪었다. 국가의례의 전래 역시 마찬가지여서, 祀典정비를 통해 새로운 천하질서를 모색하고 이를 蕃國에 강요하려는 명의 의도는 고려전기의 자주적 의례로 복구하려는 고려의 입장과 서로 충돌하였다.
    親明事大를 내세운 조선왕조의 개창은 조-명 관계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초창기의 양국관계는 여진족의 주도권 쟁탈로 원만하지 못했고, 그 결과 태조 이성계는 誥命조차 받지 못하였다. 그런데 대조선 강경책을 썼던 주원장이 사망하고 곧이어 叔姪간에 피비린내 나는 내전에 휩싸이면서 명의 대조선 정책은 바뀌었다. 새로 즉위한 혜제는 戰馬를 비롯한 조선의 도움을 받기 위해 서둘러 태종의 고명을 보내는 동시에 조선왕의 위차를 親王으로 높였다. 親王禮의 사여는 명의 外蕃중에서 최혜국 대우로, 조선에 대한 일체의 간섭을 배제했음을 뜻한다. 아울러 문종 즉위년에는 세자의 位次 역시 친왕 세자에 맞추어 인정하였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 조선의 국가의례는 親王禮를 기준으로 모색ㆍ정비되었던 것이다.
    대명의례는 양국 사신의 평화로운 내왕과정에서 明禮가 참작되어 제정되었다. 현재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에는 명과 관련된 의식이 빈례조와 가례조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고려사』에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의식이 모두 빈례조에 수록된 반면 조선의 빈례에서는 명 사신과의 宴會 및 일본, 유구 등 사신과의 의식들만이 보일 뿐 정작 명과의 사대관계를 보여주는 의식은 가례조에 수록되었다.
    빈례와 가례의 구분은 조선왕조의 이중적인 세계관이 국가의례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가례에 수록된 望闕ㆍ迎詔ㆍ迎勅ㆍ拜表 등의 의식은 황제의 권위를 바탕으로 시행됨으로써 명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질서를 인정하였다. 반면에 정작 외교의례인 빈례에서는 명 사신과의 대등한 의식 및 일본, 유구, 여진 등을 대상으로 조선왕의 우월적 입장을 보이는 의식만을 수록함으로써 조선 중심의 세계관을 보인 것이다.

    영어초록

    Koryŏ-Ming interstate relations began with King Kongmin’s struggle to recover Koryŏ autonomy from Yuan rule in dynastic shift from Yuan to Ming. since then, Ming’s expansion to the east and Koryŏ’s autonomous policy were often confronted. Subsequently, when it comes to state rites, Ming’s policy to control its vassals by forcing them to follow degraded code of state ritual, and Koryŏ’s struggle to avoid Ming policy delineating Koryŏ’s own Koryŏ-centered state ritual code, often confronted each other. This situation went on in the very early stage of Chosŏn too. Chosŏn and Ming both claimed suzerainty over those Jurchen tribes in Manchuria and Chosŏn’s founder could not even expect Ming’s designation as Chosŏn’s legitimate king.
    However, as the throne of Ming court became threatened by powerful Yen King(燕王) who was a brother of Jianwen emperor(建文帝) and Both side of Jianwen Emperor and Yen King eventually went to a civil war, Chosŏn King could make use of this situation to take better position. Ming Jianwen Emperor sent official designation of Chosŏn king as its vassal and put Chosŏn King into very exceptional position of Imperial Prince(親王) which were given only to emperor’s brothers in its sino-centric east asian world order. Giving Chosŏn king Imperial Prince means most-favored treatment for Chosŏn king. According to this, Chosŏn delineated frames of state ritual codes and elevated Chosŏn Kings position.
    Since then, while both side exchanged emissaries, state ritual codes related to the whole process of receptions for Ming emissaries began to be formulated in Chosŏn. Those codes of rituals for Ming emissaries were included in these two major ritual manuals, Sejongsillok Orye and Kukcho Oryeūi compiled by Chosŏn court. Interestingly, Chosŏn court put only those ritual codes which were directly relevant to the process of receiving Emperor’s order, into the chapter of Felicitous rites, and put the rest of those ritual codes dealing with Ming emissaries, into the chapters of felicitous rites which originally deals with the Chosŏn-centered ritual codes for the receptions of Japan, Jurchen, and Okinawa envoys.
    In this way Chosŏn’s ruling elites signifies Chosŏn’s own point of view on Sino-centric east Asian world order. Even though Chosŏn admitted Ming Emperor’s authority above Chosŏn king, by putting those rituals directly relevant to receiving Emperor’s order itself into the chapter of Felicitous rites, at the same time Chosŏn tried to signify Chosŏn king’s equal or superior positions over those Chinese emissaries by putting those ritual codes for Ming emissaries into the chapter of Guest rites, just like Chosŏn’s ruling elites delineated those ritual codes for Japan, Jurchen, and Okinawa envoys they looked down on, in the chapter of Guest ri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