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에 보이는 ‘신라(新羅)’와 거란문자 ‘sh-ul-ó-úr’ 관계 일고찰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Silla(新羅)’ and ‘sh-ul-ó-úr’ as the Khitan Script(契丹文字) Shown in 《Shang-guo-dou-jian-taifu Epitaph(上國都監太傅墓志銘)》)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11
25P 미리보기
《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에 보이는 ‘신라(新羅)’와 거란문자 ‘sh-ul-ó-úr’ 관계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63호 / 166 ~ 190페이지
    · 저자명 : 류병재

    초록

    본 논문은 중국 북경 중앙민족대학 민족박물관 3층 중국민족고문자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이라는 한문 묘지명에 대한 역주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묘주(墓主)일 것으로 추정하는 거란대자 묘지명(《痕得隐太傅墓志》)의 탁본도 동시에 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탁본의 실물은 현재 그 행방을 알 수 없다. 우리는 탁본의 내용을 토대로 이 두 비문이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대자 묘지 가운데 가장 이른 시대로 요나라 목종(穆宗) 응력10년(應曆十年, 960년) 5월 28일(五月二十八日)에 세워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거란대자 묘지와 한문비문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이 두 묘지 내용이 완벽하게 대응되지는 않는다.
    우리는《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의 역주분석 작업을 통해 한문 묘지명에는 묘주의 관직 경력과 공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내용을 『遼史』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그 내용에 등장하는 “신라”에 대응하는 거란대자를 거란대자 묘지명《痕得隐太傅墓志》에서 찾아 비교하려는 시도를 진행해 보았다. 愛新覺羅 烏拉熙春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거란대자 묘지명에는 주로 묘주(墓主)의 선조와 가족들의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거란대자 묘지명에는 ‘신라’에 대응하는 거란대자가 ‘Sulwur’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거란대자 묘지명의 해당 거란대자와 비교해 볼 때 그의 주장이 옳다고 결론짓기는 무리임을 확인하였다. 정확한 거란대자 해독을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자료 발굴과 다양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arried out Yeokju(譯註, translate and annotate) on the Chinese-language cemetery name dubbed 《Shang-guo-dou-jian-taifu Epitaph(上國都監太傅墓志銘)》 that is exhibited in the Chinese National Ancient-Writing Exhibition Hall on the third floor of the National Museum at MINZU UNIVERSITY OF CHINA(中央民族大学) in Beijing. The rubbing of an inscription(拓本) for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契丹大字)(《Heun-deuk-eun-tae-bu epitaph[痕得隐太傅墓志]》), which is presumed to be likely the same tomb occupant(墓主), is also displayed simultaneously. However, the real thing in these two rubbed copies cannot be currently known its whereabou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ubbed copies, we can confirm that these two epitaphs were set up on May 28th(五月二十八日) in the 10th year of Eungryeok(應曆十年, Year in 960) during the reign of King Mokjong(穆宗) in the Liao Dynasty as the earliest era among epitaphs with Khitan large script that have been found so far.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and the epitaph with Chinese character exist at the same time. But these two epitaph contents are not perfectly corresponded.
    Through the work of analyzing Yeokju(譯註, translate and annotate) in 《Shang-guo-dou-jian-taifu epitaph(上國都監太傅墓志銘)》, we could check a tomb occupant’s public service experience and merit based on the epitaph with Chinese character. These detail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Liao-shi(遼史)』. Also, the attempt was progressed for trying to compare Khitan large script, which corresponds to “Silla” of appearing in the texts, by searching it in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Heun-deuk-eun-tae-bu epitaph[痕得隐太傅墓志]》). According to the prior research of Aisin Gioro Ulhichun(愛新覺羅 烏拉熙春),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is being considered to be formed the mainstream by primarily recording a tomb occupant(墓主)’s ancestors and family members. And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is being claimed that the Khitan large script of corresponding to ‘Silla’ is ‘Sulwur.’ Nevertheless, it was verified to be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his assertion is right when comparing the epitaph with the previous Khitan large script and the epitaph with the relevant Khitan large script. A fact was verified to still require diverse comparative researches along with the excavation of more materials in order to accurately decode Khitan large scri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