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末 小說 批評理論의 연구 — 「童心說」의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Criticism in the Late Ming(明)Period- Focused on the Influence of Theory of childlike innocence(童心說))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明末 小說 批評理論의 연구 — 「童心說」의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연구 / 81호 / 49 ~ 72페이지
    · 저자명 : 남민수

    초록

    명말 사회가 붕괴위기로 치닫던 시기, 의외로 명대장편통속소설은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명대 상업문화의 발전과 더불어 부유해진 도시민들은 소일거리로 소설을 찾게 되었다. 출판업자들은 명대인쇄업의 융성에 힘입어 도시민이 원하는 읽을거리 즉 소설을 대량으로 출판할 수 있었다. 李贄⋅袁宏道⋅馮夢龍 등의 문인들은 통속소설을 애호하였으며 장편통속소설의 출간에도 관여하여 통속소설을 옹호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비평문을 많이 발표하였다.
    이 시기의 대표적 소설이론가였던 李贄는 그의 ‘童心說’에서 소설가는 의당 거짓이 없는 童心에 의거하여 소설을 창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소설가는 현실의 모순을 누구보다 예리하게 관찰하여 작품을 통해 사회현실을 진실하게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忠義水滸傳序」에서 李贄는 宋江 등 108인의 영웅고사를 충의(忠義)와 의협정신을 드러낸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袁宏道와 馮夢龍 등은 ‘童心설’의 영향을 받아 소설은 의당 사회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동서한통속연의서(東西漢通俗演義序)」에서 원굉도는 역사소설의 가치를 설명하면서 역사서는 역사사실을 전달하는 데 치중하여 사람들이 거의 읽지 않지만 역사사실을 가공하여 만든 역사소설은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이를 읽게 만드는 대중성과 통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馮夢龍은 「醒世恒言序」와 「警世通言叙」, 이 두 편의 글에서 통속소설의 효용을 백성을 깨우치고 교화함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명대소설의 창작경향을 ‘전도이론(傳道理論)’이라고 한다. 즉 통속소설은 사회의 갖가지 현상을 반영하면서 이야기를 통하여 도덕윤리와 권선징악 등의 문제를 전달함으로서 전도(傳道)의 효과를 달성하고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요컨대 李贄의 ‘童心說’은 명대 소설비평가들의 소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새롭게 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는데, 명말 소설비평 이론은 중국 고대소설 비평사에서 매우 귀중한 자산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At a time when end of Ming(明) society was on the verge of collapse, the popular novels of Myeongdaejang were unexpectedly enjoying prosperity that had never been seen befo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yeongdae industry culture, the wealthy urbanites came to find novels as a source of daily work. Thanks to the fusion of the prestigious printing industry, publishers were able to publish in large quantities what urbanites wanted to read: novels. Writers such as LiZhi(李贄), YuanHongdao(袁宏道), and PengMenglong(馮夢龍) loved popular novels, and published many critical articles that supported popular novels and valued them.
    LiZhi, a leading theorist on novel of this period, argued in his book, “Theory of childlike innocence(童心說)” that the novelist should create a novel based on the childlike innocence(童心). Therefore, the novelist argued that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should be observed more keenly than anyone else and that social reality should be truly reflected through the work. In the “忠義水滸傳序”, Lizhi interpreted that 108 heroes including SongJiang(宋江) were as revealing the spirit of the agreement with loyalty. YuanHongdao and PengMenglong argued that the novel should reflect the social reality of the righteous par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childlike innocence”. Explaining the value of historical novels in the “東西漢通俗演義序”, he pointed out that historical novels, which are rarely read by people because they focus on conveying historical facts, have a popular and popular character that stimulates people’s interest and makes them read them. PengMenglong finds the utility of popular novels in his two writings, “醒世恒言序” and “警世通言叙”, in order to enlighten the people. Such a trend of creation is called the “theory of telling truth(傳道理論)”. In other words, popular novels reflect the various phenomena of society and deliver moral ethics and discipline through stories,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telling truth(傳道)” and helping society. In short, Lizhi’s “Theory of childlike innocence”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newly evaluat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novels by renowned small facility evaluators, which is a very valuable asset in China’s ancient small facility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