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민자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 그 반응-명 유민(遺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Displaced Persons of Ming(明) in the Joseon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5
27P 미리보기
이민자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 그 반응-명 유민(遺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49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초록

    이 글은 명 유민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기록과 유민의 후손이 기록한 것을 통해 명 유민의 재현 양상, 명 유민에 대한 조선사회의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초기부터 일본을 비롯해 외국에서 귀화한 이민자의 숫자가 적지 않았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명에서 온 이민자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으로 조선에 온 장병의 후손이거나 반청복명(反淸復明)을 위해 조선으로 온 사람들, 혹은 명의 멸망 이후 요동지역 등으로부터 유입된 유민들이었다. 조선인들은 이들을 황조인(皇朝人) 또는 황조유민(皇朝遺民)이라 명명하고 존주론에 입각해서 이들을 대하고 관직을 하사했으며 이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명 유민은 조선 사대부의 인정을 받거나 사대부 사회에 끼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그 예로 강세작과 굴저에 대한 재현 양상을 들고 이들이 처한 언어 문제가 명 유민의 위치를 의미심장하게 드러낸다고 보았다. 강세작은 언어를 제대로 소통하지 못 하고 굴저는 자신이 이름이 제대로 불리지 못했다. 강세작은 중국어도 잊어버리고 조선어는 제대로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문은 구사할 수 있었지만 이전의 모국어와 새로운 모국어 사이에서 말을 잃어버린 강세작은 언어의 경계에 위치해 있었고, 이는 경계에 처한 그의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 경계에서 강세작은 주체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래 이름을 잃어버린 채 비슷한 이름으로 불린 굴저 역시 주체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보기 어렵다. 강세작, 굴저와 달리 명 유민들은 경제적으로도 곤궁하고 중인 정도의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명 유민의 후손에 의한 명 유민의 전이 기록되었는데 이를 조선 지식인의 명 유민 서사에 대한 명 유민의 대항서사로 보았다. 그러나 명 유민의 서사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함으로써 안과 밖의 경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migrants from Ming(明) were treated and represented in Joseon Dynasty through the records of them which had been written by the Joseon intellectuals and the descendants of migrants in that period. Though the number of immigrants who came from other countries like Japan and became naturalized was not small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immigrants rapidly increased. Most of them were descendants of the Ming soldiers who came to Joseon as supporters during the Imjin War, or people who came because they disobeyed Ching or displaced persons from Yodong area after the fall of Ming. The Joseon people named them Hwangjoin or Hwangjoumin, and treated them with respect based on the theory of Jonjou(尊周). These people were even allowed to serve public service and the Joseon Dynasty left records of them. But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were not recognized by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failed to engage in the upper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representations of Kang Se-jak(康世爵) and Guljeo(屈姐) and the language problems they had faced significantly revealed the location of displaced persons from Ming. Kang Se-jak could not properly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and Guljeo herself was not rightly named. Kang Se-jak could not learn the Korean language while he forgot the Chinese language. Though he was able to write the Chinese, he couldn’t speak any language properly between the old native language and the new language. This situation showed his location at the border of the language, and the life on the border. Considering this, we can't say that Kang Se-jak lived a life as a subject. Guljeo, losing his original name and called by a similar name, also couldn’t live a life as a subject. Some other displaced persons from Ming besides Kang Se-jak and Guljeo were found to be positioned as middle though they were economically needy. In this situation, some descendants of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tried writing records of their forefathers’ stories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These records were regarded by Joseon intellectuals as the counter-narrative about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against those which were written by Joseon intellectuals. But ironically, the narrative by the descendants from Ming’s migrants was only to strengthen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y focusing on their own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