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銘詩·挽詩의 특성과 장르적 상관성 (Characteristics and Genre Correlation of Myeongsi(銘詩) and Mansi(挽詩) in the Late Goryeo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고려후기 銘詩·挽詩의 특성과 장르적 상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1권 / 105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본고는 애도시의 관점에서 고려후기 銘詩·挽詩 두 양식의 양상과 특성을 밝히고 그 장르적 상관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고려후기에는 묘지명의 명시가 활발히 지어지는 가운데 만시 창작도 증가했다. 두 양식은 죽음이란 사건에서 비롯되고 애도를 기본 속성으로 한다는 점에선 공통되나 애도의 층위와 표현, 죽음 인식과 이미지에서는 대조를 이룬다. 명시는 망자를 공적 영역에서 다루고 칭양을 위주로 하는 데 대해 만시는 공적 영역과 개인적 관계에 걸쳐서 망자를 이야기하고 생자의 비탄을 위주로 한다. 명시의 시간은 영속적이고 미래를 향하며 그 어휘와 어조는 확신에 차고 당당하고 상승의 기세를 드러낸다. 반면 만시의 시간은 현재에 머물고 머뭇거리며 어휘와 어조는 침울하고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다.
    죽음 인식과 이미지에서도 대조적인 면이 드러난다. 명시에는 무덤이나 저승에 대한 언급이 자주 보이고 만시에는 장례 의식이나 장례와 관련된 용어가 빈번히 등장한다. 명시는 죽음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이름이나 업적, 자손, 또 誠의 理法과 같은 인간의 영역에서 할 수 있는 노력으로 초극하려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만시는 죽음이라는 불가항력적 사태에 직면해 사/생의 격리, 인생의 유한함에 대한 허무와 절망감을 토로하고 신선사상이나 비교적 자유로운 내세관을 드러낸다.
    두 양식은 애도시로서 역할 분담을 하면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루었다. 그런데 고려후기에는 이런 분담의 경계가 흐려지는 양상도 나타난다. 이것은 상장례의 정착, 묘지명 문화의 쇠퇴, 그리고 三首連章體와 같은 만시 자체의 변화, 여기에 작자의식의 성장이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런 요인이 만시를 서서히 애도시의 주류의 위치로 밀어올린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yeongsi (銘詩) and mansi (挽詩), two poetry styl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ourning poetry and examines the issue of their genre correlation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number of myeongsi of epitaphs were written and mansi writing was also on the rise. The two styles had commonalities, such as being written after death events and having condolences as a basic property. However, they have different layers of condolences and are in contras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perception and image of death. Myeongsi deal with and mainly admires the dead in the public realm, while mansi tell of the dead in a range covering the public realm and personal relationships and focus on the grief of the living. The time of myeongsi is permanent and future-oriented, and its vocabulary and tone are confident and dignified, showing the spirit of ascent. On the other hand, the time of mansi stays and hesitates in the present and its vocabulary and tone tend to be gloomy and descending.
    The two styles are in contrast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perception and image of death, as well. Graves and the afterlife are often mentioned in myeongsi, while words related to funeral rituals or funerals frequently appear in mansi. Myeongsi’s view of the world is characterized by accepting but trying to overcome death with efforts that can be made in the realm of humans, such as reputation, feat, descendants and the rules and principles of the sincerity (誠). Mansi are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futility and despair as to the separation between life and death and a finite life in the face of death and hold a relatively free view of afterlife, such as Taoism.
    The two styles we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y playing their respective roles as mourning poems. But the boundary between their respective roles became less cle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is could be the results of such factors as the establishment of funeral rites, the decline of the epitaph culture, and changes in mansi itself, including change into a three-poem series (三首連章体), and the growth of authors’ consciousness. These factors are assumed to have gradually elevated mansi to the mainstream position of mourning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