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화 기법의 중국, 일본, 한국 애니메이션 적용 사례 연구 -‘신신방: 양전’, ‘귀멸의 칼날’, ‘무녀도’를 중심으로- (A Cas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to Chinese, Japanese, and Korean Animations -Focusing on ‘New Gods: Yang Jian’, ‘Demon Slayer’, and ‘The Shaman Sorceres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9
11P 미리보기
동양화 기법의 중국, 일본, 한국 애니메이션 적용 사례 연구 -‘신신방: 양전’, ‘귀멸의 칼날’, ‘무녀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0권 / 3호 / 69 ~ 79페이지
    · 저자명 : 김소진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 예술 기법을 현대 애니메이션에 융합하여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신신방: 양전’, 일본의 ‘귀멸의 칼날’, 한국의 ‘무녀도’ 를 대상으로 동양화 기법이 현대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 연구및 애니메이션 시각 자료의 검토 후, 동양화 기법을바탕으로 한 시각, 기술, 문화적 요소를 주요 요소로선정하여 작품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신신방: 양전’은 전통 수묵화 기법을 통해 차원 분리와 같은 공간적 변화을 독창적으로표현하였고. 특히 일반적인 3D 애니메이션 부분과 동양화 기법을 혼합 사용하여 애니메이션화한 부분에서융합된 독창성이 돋보인다. 반면, ‘귀멸의 칼날’은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며 캐릭터의 고유 능력을 돋보이게 하였다. 빛, 불, 물, 번개, 안개 등의 효과 묘사에우키요에의 특성인 강한 색채와 선을 활용하고, 스미에의 특성을 통해 공간에 자연스럽게 번지는 느낌을개성적으로 표현하였다. ‘무녀도’는 전통 한국화 요소를 반영한 서사적 전환을 보여주었다. 한국의 계절 변화 풍경과 인물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색채와 농담을통해 묘사하며 서사적 깊이를 표현했다.
    세 작품은 동양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통 예술과 현대 애니메이션의 조화를 보여주고, 시각적 표현의 깊이와 다양성을 확장하였다. 다만, 일부 작품에서 동양화 기법의 과도한 적용으로 인한 시각적 불균형이나몰입감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이는전통 기법을 현대적 맥락에서 사용할 때, 기술적 정교함과 일관성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동양화 기법은 현대 애니메이션의 표현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통과 현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시각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통적 요소들이 현대 애니메이션에서 창의적으로 활용될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integrating traditional art techniques into modern animation to create unique visual experiences. This study analyzes how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are utilized in contemporary animation, focusing on three works: China’s ‘New Gods: Yang Jian’, Japan’s ‘Demon Slayer’, and Korea’s ‘The Shaman Sorceres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visual analysis, the study examines key visual, technical, and cultural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ainting.
    The analysis reveals that ‘New Gods: Yang Jian’ creatively expresses spatial transitions, such as dimensional separation, by combining traditional ink wash techniques with 3D animation in a unique toon-rendered style. ‘Demon Slayer’ enhances the visual impact of characters’ abilities by incorporating the strong lines and colors of Ukiyo-e and the subtle gradation effects of Sumi-e to create dynamic effects such as light, fire, water, and lightning. ‘The Shaman Sorceress’ reflects traditional Korean painting techniques, depicting seasonal landscapes and character interactions with a rich use of color and shading, adding narrative depth.
    These works demonstrate how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into modern animation to enrich visual depth and diversity, creating new visual experiences. However, the study also notes that excessive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can lead to visual imbalance or reduced immers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technical precision and consistency when adapting these methods in a modern context. In conclusion, traditional East Asian painting techniques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expanding the expressive potential of modern animation, offering the possibility of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visual experiences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 and contemporary technolog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traditional elements can continue to be creatively utilized in future anim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