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멸망기 신라의 군사 활동 (A Study on Silla's military activities during the fall of Kogur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고구려 멸망기 신라의 군사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90호 / 121 ~ 154페이지
    · 저자명 : 임기환

    초록

    본 연구는 667~668년 2년에 걸쳐 고구려에 대한 신라의 공세적인 군사 활동 과정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관련 자료는 대부분 「신라본기」 기사인데, 기사 내용이 단편적이거나 기년 등에서 합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자료에 대한 사료 비판을 선행하였다. 또한 당시 신라군의 군사 활동의 목표는 평양성 공격으로, 이와 관련된 당의 요청이나 당군의 동향을 연계하여 파악하였다. 667년에 문무왕은 당 고종의 공식적인 참전 요청이 없었음에도 대규모 신라군을 이끌고 북진하였다. 이는 평양성 공격에 신라군이 배제되어 전후 처리과정에서 고구려 영토에 대한 권리를 잃지 않기 위한 의도였다. 반대로 당은 김인태와 김인문을 통해 간접적으로 신라군을 동원하고자 했다. 양국의 속내가 서로 다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당은 웅진도독 유인원으로 하여금 비열홀을 경유하여 진격하도록 했는데, 이 역시 새로 확보한 비열홀 일대를 둘러싼 신라와 당의 잠재된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문무왕은 9월에 한성에 도착하여 이적 당군의 평양 공격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신라본기에는 10월 2일에 당군이 평양성 북쪽 2백리에 도착해서 보낸 사신으로부터 평양성 공격 기일을 전달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필자는 이들 사신이 한성에 온 경로를 국내성에서 비열홀을 거쳐 한성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당시 이적의 당군은 압록강을 도강하지 못하였다고 파악하였다. 그래서 신라군은 방원령로를 통해 11월에 獐塞(수안)까지 진격하였다가 회군하였다. 668년 전쟁에서도 당은 신라군의 참전을 배제하고 유인원의 웅진도독부의 군사만으로 고구려 남부전선을 돌파하고자 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유인원은 장안으로 소환되고 유인궤가 신라군의 참전을 공식 요청하였고, 문무왕은 그동안 준비를 갖춘 대규모 원정군을 출정시켰다. 신라군의 참전으로 고구려군은 압록강 방어 전략을 대대적으로 수정하여 평양성 전투에 승부를 걸었으며, 그 결과 당군의 압록강 전선 돌파가 가능해졌다. 신라군 선발대는 유인궤 당군과 함께 평양성으로 북진하였으며, 재령로 혹은 자비령로를 이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신라본기에 보이는 신라군 선발대와 이적의 당군이 합류한 시점, 신라군의 본대와 당군이 만난 시점에 대해 신라본기 기록을 그대로 인정할 수 없음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평양성 공격에서도 신라군은 평양성 전 지역에서 당군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음을 문무왕의 군공 포상 기사를 근거로 파악하였다. 또한 문무왕은 한성에 머무르면서 임진강 이북에 새로 확보한 영역에 대한 통제력 강화를 시도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김춘추와 당태종의 밀약을 실현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process of Silla(新羅)'s aggressive military activities against Koguryo(高句麗) over two years from 667 to 668. Most of the historical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are articles found in 「Silla-Bongi新羅本紀」. Therefore,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s on these articles was an important task of this study.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Silla army,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Tang army at the time were also linked.
    Tang intended to capture the Pyongyang Fortress(平壤城) without Silla's entry into the war. Conversely, Silla participated in the attack on the Pyongyang Fortress, intending to assert its rights to the territory of Koguryo in the post-war process.
    In 667, King Munmu(文武王) advanced into Koguryo with a large- scale expeditionary force, even without an official request from the Tang(唐) Dynasty. However, the attack on Pyeongyang Fortress was postponed because the Tang army led by Tang general Li Gui(李勣) was unable to cross the Ablog-River(鴨綠江). The Silla army advanced as far as Jangsae(獐塞) and then retreated.
    In 668, Tang tried to break through the southern front of Goguryeo with only the army of Gu In-hwan(劉仁願)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Silla forces, but failed. Accordingly, He were recalled to their home country, and Tang officially requested the Silla army to participate in the war. In the meantime, King Munmu sent out a large-scale expeditionary force that had been prepared.
    In 668, the progress of the war in the article of Silla Bongi was reviewe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the Tang army. Through articles awarding military achievements, it was found that the Silla army participated in the battle with the Tang army in all areas of the siege in the battle of Pyeongyang Fortress. It is also assumed that King Munmu tried to strengthen his control over the newly secured territory north of the Limjin River while staying in the Han Fortress. This was a preparatory work to realize the promise made between Kim Chunchu and King Taejong(太宗) of the Ta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