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과적인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환자 중심의 UX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이비인후과 내시경 진료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Patient-centered UX Approach for Effective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Focusing on ENT Endoscopy Experienc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9
12P 미리보기
효과적인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환자 중심의 UX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이비인후과 내시경 진료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9권 / 3호 / 179 ~ 190페이지
    · 저자명 : 송동원, 송지성, 이병주

    초록

    COVID-19를 경험하고 감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가깊어지면서 새로운 시대적 요구사항으로 비대면 진료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국내외 다양한 비대면 진료 로봇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진료 로봇의 동작 시스템에 집중되어 로봇의 구동과 활용에 관한 연구만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로봇에게 진료를받고 로봇으로 진료를 하게 될 환자와 의료진, 즉 인간중심의 로봇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외 로봇 진료 사례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학제적 과제로 진행 중인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 시나리오 중에서 진료 로봇과 환자의HRI를 범위로 환자의 로봇 진료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인터랙션 시스템들의 구성과 설계를 명확히 제시하여 환자중심의UX를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진행은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비대면 로봇 진료의 환자-진료 로봇 인터랙션(HRI)과 생리적 반응을통한 사용자 경험 변화를 이해한다. 둘째, 이비인후과로봇 진료 여정을 바탕으로 진료 과정 단계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비대면 로봇 진료에서의환자 진료 경험을 확인한다. 셋째, 환자 중심 비대면로봇 진료 인터랙션 시스템을 설계하여 환자 중심 비대면 로봇 진료 UX 구조와 하드웨어, 시각 정보를 제시한다. 넷째, 후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용 비대면 로봇 진료 구조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비대면 진료의 로봇 기술과 더불어 환자의 입장에서 환자 중심의 비대면 로봇 진료경험의 개선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현실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진료 로봇의 외형적 디자인과 더불어 환자가 진료를 받는 동안 활용할 수있는 환자 중심의 UI, 의료진이 진료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진료적 UI 디자인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모든 기술은 사람 즉, 사용자 중심으로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 방면으로 개발될 비대면 로봇 진료 기술 논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서 환자 중심의 비대면 로봇 진료 경험 개선을 고찰한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the experience of COVID-19 and concerns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eepen, research on various non-face-to-face treatment robots is being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along with interest in non-face-to-face treatment as a new requirement of the era. However,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robots, focusing on the motion system of non-face-to-face medical robot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uman-centered robots, that is, patients and medical staff who will be treated by robots and treated by robots.
    In this paper,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obot treatment cases and preceding studies, specific measures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patient’s robot treatment experience within the scope of the HRI of the patient and the treatment robot among the ENT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scenarios that are ongoing as multidisciplinary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pose patient-centered UX by clearly presenting the configuration and design of interaction systems. The research progress is first, to understand the patient-care robot interaction (HRI) of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and the change in user experience through physiological respons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econd, based on the otolaryngology robot treatment journey, the patient’s treatment experience in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is confirm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at each stage of the treatment process. Third, by designing a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interaction system, the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UX structure, hardware, and visual information are presented. Fourth, a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rescue system for clinical trials is presented so that follow-up research can proceed.
    Through this study, along with robot technology for non-face-to-face treatment, the value of the study can be found by proposing a system for improving the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experience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and presenting specific plans to realize it. .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medical robot, this is expected to help develop a patient-centered UI that can be used by patients during treatment and a medical UI design for medical staff to operate the medical robot. All technologies must be developed with people in mind, that is, users. It is hoped that research that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experience will be helpful in discussing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technology to be developed in various fields and developing user interf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