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 접근성 불평등 해소를 위한 고령자용 비대면 키오스크 하드웨어 디자인 연구 (Research on the Kiosk Hardware Design for Aging People who has Inequality in Access to Healthcar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5.03
14P 미리보기
의료 접근성 불평등 해소를 위한 고령자용 비대면 키오스크 하드웨어 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24권 / 1호 / 45 ~ 58페이지
    · 저자명 : 배민석, 김영윤

    초록

    연구 배경: 인구 구조 변화와 의료 서비스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방 거점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은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병원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키오스크 기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고령층의 신체적 한계로 인해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한 하드웨어 PUI (Physical 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키오스크를 노인정, 공공기관, 경로당 등 고령층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주기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연구 방법연구 대상자인 고령층의 신체적 특징과 현재 비대면 진료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비대면 의료 진료 시스템의 사용 과정을 여정 맵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에서 나타나는 비대면 진료 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키오스크 하드웨어 디자인의 필요에 대한 타당성을 높였다. 또한,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한 휴리스틱 실험을 통해 노인에게 적합한 키오스크 규격과 타입의 하드웨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키오스크 디자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고령자가 비대면 진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주요 장벽들을 도출하였다. 특히 신체적 제약을 고려한 하드웨어 설계가 의료 접근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화면 높이와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키오스크 디자인이 고령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키오스크에 결합된 받침대는 공간 활용성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결론: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하드웨어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의료 접근성의 불평등 해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를 고려한 맞춤형 키오스크 설계를 통해 고령자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화면이 그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또한, 공간 활용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책상형 받침대 개념은 하드웨어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적 해결책은 고령자가 디지털 의료 서비스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향후 헬스 케어 접근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healthcare services in metropolitan areas have widened the medical accessibility gap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Elderly individuals in remote areas often face significant barriers to healthcare access. This study proposes a telemedicine kiosk system with a user-friendly hardware PUI (Physical User Interfac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By placing kiosks in senior centers, public institutions, and community hubs, the system aims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enabling older adults in underserved areas to regularly access medical service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s with current telemedicine systems through a journey map. By identifying key issues in the existing telemedicine approach,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kiosk hardware design. A heuristic evaluation, considering the physical needs of elderly users, was conduct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kiosk dimensions and types most suitable for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an improved kiosk design and a proposal for an enhanced telemedicine system are presented.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barriers faced by elderly individuals when using telemedicine systems. It confirmed that hardware design considering physical limitations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medical accessibility. The research found that incorporating physical buttons alongside touch screens and designing kiosks with adjustable screen height and angle significantly improves usability for the elderly. Additionally, the integration of a pedestal with the kiosk was proposed as a practical solution to address spatial constraints. These hardware improvements are expected to facilitate easier access to digital medical services for elderly users.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to address healthcare accessibility inequalities by improving the hardware design of telemedicine systems for older adults. A user-centered kiosk design tailored to individuals with physical constraints significantly enhanced usability, with an adjustable screen emerging as a key feature. Furthermore, the concept of a desk-mounted stand contributed to overcoming spatial limitations in hardware design. These design solutions are expected to facilitate easier access to digital healthcare services for elderly users and contribute to improved healthcare accessibilit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