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교육의 현재와 비대면 교육의 방향 연구: 영화제작 실기 교육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 Focusing on Film Production Practical Educ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대학 교육의 현재와 비대면 교육의 방향 연구: 영화제작 실기 교육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90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초록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마치 SF영화가 현실이 된 것 같은 쇼크를 가져왔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휴교령, 개학 연기, 온라인 개학 등 유례없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방식은 학습자들의 학습권과 방역이라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어느 한쪽이 맞다고 단정 지을 수 없는 아포리아다.
    혹자는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교육하는 교육이 아닌 학습하는 교육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라며 학습자 스스로가 평생 교육하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나 이는 이론 위주의 수업에만 해당된다. 반드시 대면 실기가 필요한 교육의 경우 해결할 방법이 쉽지 않다.
    다수의 인원이 모여 하나의 작품을 제작하는 영화실기교육은 대면과 비대면수업을 오가며 나름의 방법론을 찾고는 있지만 고가의 프로그램, 다양한 장비, 다수의 스탭이 필요한 실기교육의 경우는 비대면 수업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영화는 종합예술로서 다양한 영역의 수많은 전문가들이 동시간대에 동일한 공간에 함께 모여 최상의 결과물을 내는 협동과정의 예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 등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교수자들은 본인의 수업에 맞는 온라인 플랫폼을 선택하여 기능 활용에 있어 고도의 숙련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은 단순히 교육받는 것이 아닌 스스로 학습하는 책임감과 성실성을 갖추어야만 한다.
    셋째, 실습수업의 경우에도 동영상 강의록을 제작, 아카이빙하여 학습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는 이론 수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기에 각각의 교수자들이 강의 역량과 방법론에 따른 파편적인 강의 자료보다는 공통될 수 있는 부분과 개별적인 부분을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선수과목 이수나 예컨대 앞선 영화제작 실습시, 시나리오가 있는 학생만 수강신청 할 수 있게 하는 등 자질을 선별하거나 분반을 통해 집중 교육해야 할것이다.
    다섯째, 대면 수업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분반과 이에 맞는 다수의 교수자 확보를 통한 최소한의 인원만 대면하게 해야 한다.
    끝으로, 실기뿐 아닌 이론 교육에 있어서도 비대면 교육에 대한 토론과 연구는 지속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영화에서의 이론은 학습자들 모두가 이론가를 목표하지 않는 이상, 단순히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기를 위한 이론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COVID-19 has brought us a shock as if a SF movie has become a reality. In particular,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education, unprecedented situations such as school closures, postponement of school start, and online school start occurred.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 method is an aporia wher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ich one is right at the crossroads between learners’ right to learn and quarantine. Some say that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education to learning rather than education in the wake of the COVID-19 crisis, and that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for learners themselves needs to be changed, but this is only for theory-oriented classes. In the case of education that necessarily requires face-to-face practical skills, the solution is not easy.
    Film practical educati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to produce a single work, seeks its own methodology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s practically impossible. This is because, as a comprehensive art, many experts from various fields gather together in the same space at the same time to produce the best results.
    Theref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s should select an online platform that suits their class and become highly skilled in using the function.
    Second, learners must have responsibility and sincerity to learn on their own rather than simply being educated.
    Third, even in the case of practical classes, video lecture notes should be produced and archived so that learners can select them. Since theory classes are essential, it is necessary for each professor to select common and individual parts rather than fragmented lecture materials according to lecture competency and methodology.
    Fourth, in the case of prerequisite courses or, for example, prior film production practice, only students with scenarios can register for courses, etc.
    Fifth, when face-to-face classes are absolutely necessary,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must be face-to-face through class division and securing a large number of appropriate instructors.
    Finally, discussion and research on non-face-to-face education must be continued not only in practical training but also in theoretical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theory in the film is not just a theory, but a theory for practical use, unless all learners aim to be theor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