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Korean Instructors’ Perceptions on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3
33P 미리보기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11권 / 265 ~ 297페이지
    · 저자명 : 이기영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 발생 이후 지속되어온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교수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해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수자들의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특히 비대면 평가가 교수자들의 들인 노력에 비해 학습자들이 배운 교육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 공정한 시험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 즉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표하였고 시행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반면, 비대면 평가는 기록이 남고 학습자들의 과제나 답안지 등이 LMS 등에 남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처럼 보관할 수 있다는 것과 인터넷 기반의 평가를 했을 때 채점이 용이하다는 것, 학습자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시험을 보기 때문에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말하였다. 교수자들이 이야기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평가 유형이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유연함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평가 특성에 맞는 시험 문항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정한 시험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기관 차원의 지원 및 교육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효율적인 과제 평가를 위해서 온라인 평가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면 교수자들과 학습자들의 정서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갑작스럽게 찾아온 비대면 교육이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 대학 기관과 교수자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비대면 평가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이제 위드 코로나라는 새로운 전환점 앞에 서 있지만 비대면 교육은 다양함이 존재하는 이 시대에 또 다른 교육 대안으로 존재하며,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예측해 본다. 따라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개선하고 좋은 점들은 대면 평가에도 적용해 보면서 새로운 대안적 평가들을 찾아가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est in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ors on it. Based on this, I tried to find suggestions for the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Instructors' perception of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were generally negative. In particular, they expressed doubts abou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since it was not sure whether the learners could deliver what they learned as good as possible and whether the test could be made fairly, and they expressed the hassle an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the test.
    On the other hand, they said that non-face-to-face test is positive in that it can be stored like a portfolio because the records are left and learners' assignments and answers are stored in LMS, that it is easy to grade when evaluated on the web, and that it seems to relieve tension of the learners because the test is taken in a familiar environment to the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test, first, new approaches and flexibility to evaluation types and methods are needed. Seco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st questions specifically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test. Third,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for fairness of the test. Fourth, institutional support and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est for efficient task evaluation. Finally, when a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is established, emotional anxiety among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be reduced.
    Amid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universities and instructors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and provide quality education. However, non-face-to-face test is yet a difficult task. Now, we are facing a new era of “With Corona”, but non-face-to-face education exists as another educational alternative in this era where diversity exists, and we can predict that 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classes will coexist.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find new alternative test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test and applying its advantages to the face-to-face t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