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기 <경향신문>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 (Cultural Sec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and Kim, Gwnag-ju's Writing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2.03
31P 미리보기
한국전쟁기 &lt;경향신문&gt;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권 / 1호 / 337 ~ 367페이지
    · 저자명 : 최미진

    초록

    이 글은 한국전쟁기 문인언론인의 활동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으로 『경향신문』의 문화면을 대상으로 문화부장으로 재직했던 김광주의 역할과 글쓰기 특성을 연동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시 상황에서 언론에 대한 철저한 검열을 통해 사상 통제와 비판적 언로를 기도했던 정치권력, 열악한 물적ㆍ인적 기반을 극복하고 창간이념을 지켜나가려 했던 신문사의 의지, 그리고 폐쇄일로의 문화담론과 문학창작에 활로를 모색했던 문인언론인이 서로 다른 요구를 수렴하고 타협하는 제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는 「경향신문」의 문화면을 다른 신문들과 차별화시키는 요건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전쟁기 「경향신문」의 문화면에서 김광주의 두드러진 역할은 작가 주도로 신설한 <자유란>을 시작으로 전쟁으로 고통 받는 독자들과 소통하는 창구를 열어갔다는 점, 국가주의와 연동한 신문사의 기획 사업을 추진하면서 위축된 문화담론을 활성화하고 다양화시켰다는 점, 문학 창작열을 고취하고 그 활로를 여는 데 앞장섰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었다. 문화면 담당자로서 국가와 신문사의 요구를 수렴하면서도 신문 독자와 문화인을 위한 새로운 활로를 마련한 점은 주목할 만하였다.
    이시기 「경향신문」에 발표된 김광주의 글쓰기는 신문매체와 문단, 작가의 역학관계를 잘 드러나는 지점을 보여주었다. 국가에 동원된 글쓰기와 일상세계의 경험적 글쓰기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었다. 전자는 국가주의에 복무하는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도 균열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휴전 협정이 이루어졌던 시기 국가적 폭력에 대한 날선 균열들은 순응에서 타협으로의 태도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후자는 1ㆍ4후퇴 이후 독자와 경험을 공유하는 소통의 한 방식으로 의의를 지니고 있었는데, 작가의 피난 체험과 폭행사건이라는 체험에 기반하고 있었다. 특히 작가의 폭행사건은 국가와 문단에 대한 불신을 초래한 사건이면서 세인에게 작가를 각인시키는 계기로도 작용하였다. 이는 문인언론인의 책무에서 벗어난 전후 다작의 한 기반이 되었을 것이라 여겨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cultural sec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during the Korean War, in connection with the role and the writing styles of Kim, Gwang-ju, who was the Chief of the Cultural Section of the newspaper.
    His roles in the cultural columns of "The Kyunghyang Shinmun" were outstanding in three ways. First, writers took the lead in opening up communication channels with readers who were suffering from the war. Through different formats of <Freedom Column> at first, and then <Womens' Salon> and <Kyunghyang Salon>, writers were leading the efforts to deal with the plight of readers and to answer their questions. Second, they revitalized the cultural discourse which had been put on the back burner due to the special projects undertaken by newspaper companies in line with nationalism. Feature articles, round-table talks and the year-around projects that were all begun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ges of "The Kyunghyang Shinmun"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check the reality and renew the overall cultural affair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Third, writers were at the forefront of encouraging creative writing and very active in opening the doors. Their struggles to secure space for a regular column sometimes ended up with being filled with newspaper writers' works, but these efforts significantly paved the way for other writers to create their own works.
    The works of Kim, Gwang-ju published in "The Kyunghyang Shinmun" during this period clearly showed the dynamics of the newspaper media, the literary circles and writers. His writings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he writings mobilized by the nation and the others written about the everyday life. The works he created for the nation took the form of editorial columns or book reviews, conforming to the sense of nationalism and even deemed as a device to represent his ideology, but when it comes to censorship, he expressed different views. He raised issues about the qualification for censors and the criteria for censorship, while showing his deceitful self-portraits. He did his utmost as a leader in making propaganda against communism 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but he did not overlook the violent logic by the time when the armistice agreement was about to be signed.
    The experiential writing about daily life, which was conspicuous in his literary works created after the South Korea's retreat on January 4, 1951, was used as a way of communication to share his experiences with readers. This was connected with the two mechanisms of despair he experienced. The former was experienced when he had to flee leaving his grandmother behind, and the latter was the violence against the writer himself. The first despair, represented in his short stories connected with the impoverished refugee life, deeply touched the emotions of readers at the time, while the other experience intensified his despair of power and people, revealing itself with an unconventional writing style at a time when essays were the prevailing form of writing. Kim, Gwang-ju, however, tried to writing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receiving both literary criticism and expectations. The above shows that the Korean War Period was the time for Kim, Gwang-ju when there was a balance between the nation, newspaper media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e wri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