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암 시종면 일대 고분군 매장주체부의 변천 배경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Burial Facilities of Ancient Tombs in the Sijong-myeon Area, Yeonga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12
40P 미리보기
영암 시종면 일대 고분군 매장주체부의 변천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76호 / 159 ~ 198페이지
    · 저자명 : 최영주

    초록

    본고에서는 영암 시종면 일대 고분군의 성격과 단계 구분을 통해 매장주체부의 변천 양상과 변천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형분 단계에는 시종면 일대의 정치체가 마한 소국으로 성장하여 제형분으로 정형화되었고 매장시설은 목관(곽)묘를 대체하여 2형식의 옹관묘를 사용하면서 정체성을 극대화하였다. 고총고분 단계 직전의 제 양상(방형분・원형분)을 통해 점진적인 성장의 기반을 확보하였다. 이는 남해만이라는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선진문물의 수용과 교류 등 상호관계를 통해 독자 세력을 유지하면서 성장의 발판을 삼은 것으로 이해된다.
    고총고분 단계의 옥야리 방대형고분과 내동리 쌍무덤 1호분은 시종면 일대 지역을 통합하고 성장하기 시작하는데 그 통합의 기반은 고분의 고총화(분구성토기술, 횡혈식구조)와 다른 정치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것으로 이해된다. 시종면 일대 유력 세력은 5세기 후엽 이후에도 금동대관과 왜계 고분자료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백제설실분 단계의 내동리 쌍무덤 1호분은 사비기(530년)에 2호 석실묘를 축조한 이후 매장시설을 조성되지 못하고 단절된다. 이는 백제에 의해 시종면 일대의 세력이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약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al phases of the ancient tombs in the Sijong-myeon area of Yeongam,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and background of changes in burial facilities.
    During the trapezoidal tomb phase, as the political body in the Sijong-myeon area grew into Mahan state, tombs became standardized in the trapezoidal form, and wooden coffin burials were replaced by Type 2 jar coffins, which enhanced the polity's identity. Additionally, the gradual adoption of square and round tomb forms prior to the ancient tomb phase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steady growth. It is understood that, as a geopolitical strategic point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it maintained its independent power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such as acceptance and exchange of advanced civilizations and used it as a stepping stone for growth.
    The Okyari squarish platform tomb and the Naedong-ri Twin Tombs No. 1 during the ancient tomb phase, mark the beginning of regional integration and growth in the Sijong-myeon area. This integration is understood to have been facilitated by the elevation of tombs (grave mounding techniques and horizontal chamber structur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political entities. The leading powers in Sijong-myeon continued to grow even after the late 5th century, as evidenced by artifacts such as the gilt-bronze crown and tomb materials of the Wa’s style.
    However, the Naedong-ri Twin Tombs No. 1 of the Baekje stone-chambered tomb phase was cut off without any burial facilities after the construction of Stone Tomb No. 2 in the Sabi period (530). This caused the power in the Sijong-myeon area to be weakened by Baekje, unable to exert influ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