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 기반 인공지능 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 -비대면 진료의 UX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Robot System Based on UX Design for Non-Face-to-Face Diagnosis and Treatment -Centering the Development of UX Design for Non-Face-to)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12
12P 미리보기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 기반 인공지능 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 -비대면 진료의 UX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4호 / 141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이병주, 송지성

    초록

    2019년 12월 중국에서 최초 발견된 코로나 19가 전세계로 확산된 이후 모든 분야에서 바이러스 감염 방지와 격리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비대면 서비스는 사회전반으로 확대되어 교육, 사회, 문화 등과 함께 의료 환경에 많은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감염 환경에 노출이 많은병원에 대한 비대면 진료에 대하 논의가 급부상 되고있다.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해 병원을 내원 한 환자와의사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진료 할 수 있는 비대면진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기반 인공지능 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로 공학대학, 디자인대학, 한양대학교 구리 병원의참여로 이루어진다. 연구기간은 2021년 6월부터 2024 년 5월까지 3년에 대한 연구이며, 본 논문은 1차 년도연구로 환자와 의사의 UX 디자인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재비대면 진료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대학 병원의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환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비대면 진료에 대한 필요성 및 발전 가능성을탐색하고,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으로 여정 맵과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로봇시스템의 UX 디자인 개발 예상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다.
    기존의 비대면 진료 분야의 단일 기술에 집중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료진, 환자)의 경험을기반으로 한 UX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예약-내원-문진-진단-치료-처방까지 전 과정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UX 디자인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개발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 기반 인공지능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사용자 경험에 관한 UX 디자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Since COVID-19, which was first discovered in China, spread around the world in December 2019, non-face-to-face (untact) services have been launched in all fields to prevent virus infection and relieve quarantine anxiety. Non-face-to-face services are expanding throughout society, affecting the medical environment along with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non-face-to-face treatment for hospitals that are exposed to infectious environments are rapidly emerging.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non-face-to-face treatment that can minimize contact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who visit hospitals for treatment or treatmen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robot system based on UX design for non-face-to-face treatment and treatment, and the research period consists of the participation of Hanyang University’s Erica College of Engineering, Design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s Guri Hospital from June 2021 to May 2024.
    As a research method, the current trend of non-face-to-face treatment was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and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patients who visited otolaryngology at university hospitals. After that,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for non-face-to-face treatment were explored, and UX design for non-face-to-face treatment and treatment was derived as a travel map and design development prototype.
    Focusing on a single technology in the existing non-face-to-face treatment field, this study derives components of UX design based on user (medical staff, patients) experi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UX design-based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robot system based on UX design for non-face-to-face treatment and treatment, and hope that many UX design studies on user experience will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