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존적 유방절제 환자의 방사선치료 시 종속조사면 병합방법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표면선량평가 (Evaluation of Contralateral Breast Surface Dose in FIF (Field In Field) Tangential Irradiation Technique for Patients Undergone Breast Conservative Surgery)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08.12
6P 미리보기
보존적 유방절제 환자의 방사선치료 시 종속조사면 병합방법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표면선량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31권 / 4호 / 401 ~ 406페이지
    · 저자명 : 박병문, 방동완, 배용기, 이정우, 김유현

    초록

    목 적 : 종속조사면 병합 치료방법(FIF : Field In Field)을 이용한 유방절선조사 시 반대편 유방의 표면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FIF치료방법 이용 시 반대편 유방에 흡수되는 표면선량을 평가하고자 동일한 기하학적 조건과 처방선량을 기반으로 열린조사면(Open), 금속쐐기(MW : Metal Wedge), 동적쐐기(EDW : Enhanced Dynamic Wedge)를 이용한 조사방법과 비교하였다. 3차원 치료계획장치를 이용하여 선량분포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계산 결과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인체 팬톰과 모스펫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동측 유방 입사면 가장자리로부터 반대편 유방 쪽으로 2, 4, 6, 8, 10cm 지점을 선정하여 각각 표면(0cm : 가피)과 0.5cm(진피) 깊이에서 선량을 측정하였으며, 0.5cm 깊이 선량측정을 위해서 0.5cm 볼루스를 사용하였다. 선량분포의 계산은 불균질 물질을 보정(modified Batho method)하여 0.25cm 격자 해상도로 수행하였다.
    결 과 : 치료계획장치에서 각 지점의 평균표면선량은 금속쐐기의 경우 표면 및 0.5cm 깊이에서 19.6~36.9%, 33.2~138.2% 증가했고, 동적쐐기는 1.0~7.9%, 1.6~37.4%까지 증가하였다. FIF는 -18.4~0.7%, -8.1~4.7%까지 선량이 변화하였다. MOSFET을 이용하여 측정한 경우는 금속쐐기는 표면 및 0.5cm 깊이의 경우 11.1~71%, 22.9~161.2% 증가했고, 동적쐐기는 4.1~15.5%, 8.2~37.9% 선량이 증가했다. FIF는 표면에서-15.7~-4.9%로 선량이 오히려 감소했으며, 0.5cm 깊이에서의 선량도 -10.5~3.6%로 나타났다. 치료계획장치의 계산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계획장치의 경우 피부선량이 실제측정값보다 다소 과소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본 실험을 통해 FIF치료방법의 경우 기존 치료방법(MW, EDW)에 비해 치료표적에 최적화 된 선량분포를 만들어 내면서도 반대편 유방의 피부에 불필요한 산란선량을 최소화하는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ntra-lateral breast (CLB) surface dose in Field-in-Field (FIF) technique for breast conserving surgery patients. For evaluation of surface dose in FIF technique, we have compared with other techniques, which were open fields (Open), metal wedge (MW), and enhanced dynamic wedge (EDW) techniques under same geometrical condition and prescribed dose. The three dimensional treatment planning system was used for dose optimization. For the verification of dose calculation, measurements using MOSFET detectors with Anderson Rando phantom were performed. The measured points for four different techniques were at the depth of 0cm (epidermis) and 0.5cm bolus (dermis), and spacing toward 2cm, 4cm, 6cm, 8cm, 10cm apart from the edge of tangential medial beam. The dose calculations were done in 0.25cm grid resolution by modified Batho method for inhomogeneity correction.
    In the planning results, the surface doses were differentiated in the range of 19.6~36.9%, 33.2~138.2% for MW, 1.0~7.9%, 1.6~37.4% for EDW, and for FIF at the depth of epidermis and dermis as compared to Open respectively. In the measurements, the surface doses were differentiated in the range of 11.1~71%, 22.9~161% for MW, 4.1~15.5%, 8.2~37.9% for EDW, and 4.9% for FIF at the depth of epidermis and dermis as compared to Open respectively.
    The surface doses were considered as underestimating in the planning calculation as compared to the measurement with MOSFET detectors. Was concluded as the lowest one among the techniques, even if it was compared with Open method.
    Our conclusion could be stated that the FIF technique could make the optimum dose distribution in Breast target, while effectively reduce the probability of secondary carcinogenesis due to undesirable scattered radiation to contra-lateral br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