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에서 사유의 미침 - 블루멘베르크의 해석을 중심으로 (The Madness of Thinking in Philosophy of M. Heidegger and L. Wittgenstein - by H. Blumenberg’s interpretatio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에서 사유의 미침 - 블루멘베르크의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91권 / 151 ~ 175페이지
    · 저자명 : 배선복

    초록

    이 글은 하이데거(M. Heidegger)와 비트겐슈타인(L. Wittgenstein)의 철학체계를 사유의 미침으로 해석한 블루멘베르크(H. Blumenberg) 철학의 비개념적 사유의 고유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사유의 미침은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의 우물추락에서 하이데거의 세계내의 던져진(geworfen) 존재와 비트겐슈타인의 경우(Fall)까지 전승된 철학사적 개념이다. 현대에서 사유의 미침은 프로이트(S. Freud)가 코페르니쿠스(N. Copernicus)의 탈 지구중심우주이래 인간 자의식의 나르시스 성향의 질병으로 지칭하면서 비롯되었고, 프랑스 구조주의는 이를 광기(狂氣)로 취급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블루멘베르크는 20세기 사상을 풍미한 두 철학자가 구축한 철학적 개념체계를 비철학적 언어로 간주되던 수사학적 은유로 접근하였다. 그는 플라톤 철학의 동굴의 비유이래 철학사적 개념상태를 사유의 덫에 빠진 그림에서 고찰하면서, 철학적 인간학의 웃음으로 해소하고 직립보행으로 조감하는 철학적 방법론을 확립하였다. 그는 두 철학자의 개념적 사유체계를 사유하지 않는 것을 사유하고, 개념적 정의로 전이되기를 거부하고 논리적으로 번역될 수 없는 절대은유로 파악하므로 철학적 사유의 단초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열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ill explicate H. Blumenberg’s original insights on M. Heidegger and L. Wittgenstein’ philosophical concept system with regard to conceptional zones, madness, Folie, and Verruectkheit. The madness concept comes from S. Freud who considers symptoms of sickness as a kind of narcissism in modern human beings who are awaken to their smallness in the Copernican universe. The concept of madness is transferr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from Thales’s fall into a well to Heidegger’s angst in-der-Welt- sein and Wittgenstein’ case as the totality of the facts. On the fundamental base of historical semantics in the tradition of philosophy, H. Blumenberg approaches conceptional systems of the two philosophers’ with the absolute metaphor and non conceptional theory that are to be established as philosophical discipline. He thought they had fallen into a trap and overlooks the two philosopher’s thinking by laughter from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upright walking of human beings. He contributes to new understanding of the conceptional thought system of the two philosophers on the horizon of 20 century philosophy, as far as he thinks thoughts which refuse to be transferred to concepts, and which are not logically translated. My contribution to his non conceptional methodology lies in new understanding from the history of philosophy about the madness of thoughts through these two philosop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