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미학으로서의 ‘멋’과 그 의미 - 조지훈의 ‘멋의 연구’를 중심으로 (‘Style’ and Its Meaning as K-Aesthetics - Focusing on Jo Ji-hoon’s ‘Study of Styl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8
27P 미리보기
K-미학으로서의 ‘멋’과 그 의미 - 조지훈의 ‘멋의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2권 / 2호 / 115 ~ 141페이지
    · 저자명 : 이재복

    초록

    ‘멋’은 한국인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우리 문화, 예술의 산물이다. 이것은 멋이 우 리 민족의 삶 속에서 생성되고 향유되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우리 민족을 가리켜 멋을 알고 멋을 낼 줄 아는 민족이라고 말한다.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 에 적힌 ‘풍류’라는 말이 잘 보여주듯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멋에 민감한 삶의 태 도를 유지해 왔다. 멋과 풍류에 대한 지향은 그에 걸맞은 문화, 예술을 낳았고, 오늘 날 전 세계인들이 열광하는 한류 혹은 K-컬처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멋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고 그것을 학술적인 차원에서 가장 깊이 있 게 고구(考究)한 이가 바로 조지훈이다. 그는 멋의 의미 구조를 형태, 표현, 정신미의 차원에서 자세히 살피고 연구함으로써 멋이 지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가 제시한 형태, 표현, 정신미의 차원이 드러내는 각각 의 요소들 - 비정제성, 다양성, 율동성, 곡선성, 원숙성, 왜형성, 완롱성, 무실용성, 화 동성, 중절성, 낙천성 등은 멋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세분화하고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가 제시한 이러한 사실을 통해 우리는 K-컬처로서의 멋의 정체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K-컬처로서의 멋은 한국적인 특수성만으로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향유하는 세계 각지의 사람들의 참여와 생산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K-컬처에서 K는 더 이상 폐쇄적이고 협소한 한국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글로벌한 보편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발전해온 개념이다. K의 정체성이 ‘혼종’에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것은 ‘K-미학으로서의 멋’ 역시 혼종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정한 혼종은 어느 한쪽으로의 흡수가 아닌 섞이는 것들 사 이의 기우뚱한 균형이나 엇박의 리듬감을 유지한 상태에서의 긴장을 말한다. 멋은 우리만의 것이 아니라 그것을 향유하는 사람 모두에게 열려 있는 미지의 ‘K’이다. 누 구든지 멋의 의미 생성에 참여하여 그것의 정체성을 만들어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 혼종성에 기반 한 멋이 탄생하게 된다. 혼종성으로서의 K란 곧 K-미학 으로서의 멋을 말한다.

    영어초록

    ‘Meot’(Style) is a product of our culture and art that represents the aesthetic conscious- ness of Koreans. This means that the style has been created and enjoyed in the lives of our people. It is often said that our people are those who know the style and how to be stylish. As the word ‘pungryu’ written in Choi Chi-won’s Nanrangbiseo (鸞郞碑序) clearly shows, our people have maintained a lifestyle sensitive to style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orientation toward style and taste gave rise to appropriate culture and arts. And i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Wave or K-culture, which people around the world are pas- sionate about today.
    There has been a discussion about style for a long time, and the person who studied it most deeply at an academic level is Jo Ji-hoon. By examining and studying the meaning structure of style in detail in terms of form, expression, and spiritual beauty, he provide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eveal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style. Each of the elements revealed by the dimensions of form, expression, and spiritual beauty he presented - irregularity, diversity, rhythm, curvedness, maturity, distortion, smoothness, im- practicality, harmony, neutrality, optimism, etc.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sub- divides and embodies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style.
    Through these facts he presented, we can gauge the identity of style as K-culture. The style of K-culture is not established solely through Korean uniqueness. And it is cre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production of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who enjoy it.
    In K-culture, K no longer signifies closed and narrow Korean style. It is a concept that was created and developed based on global universality. The fact that K’s identity is ‘hybri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means that ‘style as K-aesthetics’ must also be hybrid. Truehybridization refers to tension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offbeat or a tilted balance be- tween things that are mixed, rather than absorption into one side or the other. The style is not just for us, it is an unknown ‘K’ that is open to everyone who enjoys it. Anyone can participate in creating the meaning of the style and create its identity. In this process, the style based on new cultural hybridity is born. K as hybridity means the style as K-a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