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대안: 이머징(Emerging)교회 운동 (An Alternative Reformation for the Korean Church: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10
35P 미리보기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대안: 이머징(Emerging)교회 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83권 / 119 ~ 153페이지
    · 저자명 : 양현표

    초록

    20세기 말엽, 미국 기독교 안에 “이머징교회”란 말이 등장했다. 이 말이 등 장한 이후 폭넓은 논쟁과 더불어 20여년이 흘렀다. 그런데 한국 교회에 유입 된 이머징교회 운동은 여러 면에서 왜곡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머징교회 운동의 좌측 진영인 이머전트 그룹을 이머징교회 전체로 여기는 오해로 인 한 왜곡이다.
    이머징교회 운동은 20세기 말엽부터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다. 프리모던 시대에 중세교회가 출현했고, 모던 시대에 오늘날의 전통적 교 회와 구도자 중심의 교회가 발생했다고 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과 더불어 이머징교회 운동이 발생했다. 이머징교회는 모던 세상에서 전성기를 누렸던 전통적인 교회나 구도자중심 교회가 포스트모던 세상 속에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한 “젊은 복음주의자”들의 몸부림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 속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는 모든 교회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거대한 우산이 이머징교회 운동이다.
    한국사회도 포스트모더니즘을 피할 수 없다. 한국교회도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인정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복음 전파의 도구로 사용해야만 한다. 문화는 항상 복음과 적대적이자 동시에 복 음 전파의 토양이었다. 교회는 문화를 사용하고 그 안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따라서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오늘날 교회가 권위를 잃어버리고 신뢰 를 잃어버린 중요한 이유는 교회가 이 시대를 읽지 못하기 때문임을 명심하 고 포스트모던 사람들을 복음화하기 위해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물론 이머전트그룹은 받아들일 수 없다.
    결국 오늘날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대안은 이머 징교회 운동의 중도 그룹에 위치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운동이다.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여전히 스스로의 아성과 만족에 빠져 있으 며, 다음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고 세속화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는 진정한 개혁을 필요로 한다. 한국적 종교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머징교회 운동 은 그 개혁을 위한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Late in the 20th century, the term “the emerging church” appeared in American Christianity. Since then, for over 20 years, it has been a topic of wide debate. This debate has carried over to the Korean church, wher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has been distorted in many ways. This distortion has been caused by the conflation of the Emergent Group (the far left camp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with the whole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n reality, emerging church movements came out of postmodernity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analogous to the medieval church, which came out of the pre-modern era, and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that came out of the modern era. It came as a response to the struggle of “younger evangelicals” who found that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were no longer able to address the concerns of a postmodern world. Thus,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s a wide umbrella that covers all churches that are trying to find new ways to adapt and survive in the postmodern era.
    Korean society is not immune to this postmodern era and its influences – a reality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face and acknowledge. History has shown that while culture can often be hostile to the gospel, it is also the soil in which the gospel can be preached. Thus, the Church must use culture to its advantage and for its survival. Korean churches in particular must not regard postmodernity as an enemy of Christianity but as a means of evangelization. In short, the Korean church must become an emerging church. This will address a primary cause of the loss of authority and trust that today’s Korean church has suffered: it’s inability to “read” and adapt to the contemporary postmodern culture. Of course, all Emergent Group positions are unacceptable.
    An alternative emerging church movement that Korean churches should embrace to overcome this crisis is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a movement that occupies a middle space in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The Korean church is in need of true reform: it is unable to adapt to the changes in culture, stuck in its own desires and self-satisfaction, and susceptible to secularization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It is time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gives a model for this re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