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조~태종 연간 孟思誠의 정치적 좌절과 극복 (Maeng Sa-seong’s Political Frustration and Recovery from Taejo to Taej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09.09
36P 미리보기
태조~태종 연간 孟思誠의 정치적 좌절과 극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0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이정주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충효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孟思誠의 고난했던 초기 관직 생활을 살펴 본 것이다. 이제까지 맹사성은 명재상이자 청백리이며, 『三綱行實圖』에 실릴 정도의 효자였고, 조선초기 鄕樂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만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모범적인 모습은 세종대 이후 맹사성에 주목한 것이었다.
    맹사성은 비교적 훌륭한 가문에서 태어나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그리고 禑王代 최고 실권자였던 최영의 손녀와 결혼함으로써 순조롭게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1388년 일어난 위화도 회군으로 妻家가 몰락하고, 조선 건국 이후 개국 공신이 정국을 주도하면서 시련을 겪게 되었다. 맹사성이 어려운 처지에 빠지자, 父 孟希道는 아들의 출세를 위해 잠시 은거에서 벗어나 조선 건국에 대한 지지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명하게 된다. 태조의 聖德을 칭송하고, 정도전ㆍ조준과 접촉한 것이다.
    하지만 맹희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맹사성의 관직 생활은 여전히 순탄치 못했다. 맹사성은 조선 건국 이후 태종말까지 26년 4개월 가운데, 정확히 절반에 해당하는 13년 2개월 동안, 1번의 좌천과 3번의 파직, 2번의 유배를 경험하며 死地를 넘나들었다. 맹사성의 초기 관직 생활이 불우했던 것은, 은연중에 개국 공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관제개혁의 모델로서 고려초기를 염두에 두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즉 맹사성은 조선 건국 이후에도 부지불식간에 고려시대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맹사성의 우유부단한 태도나 부주의한 업무 처리도 정치 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이었다.
    하지만 몇 가지 약점에도 불구하고 맹사성은 태종대 이후의 시대에 적합한 인간형이었다. 그는 태종대 주요 인물 대부분과 친밀했지만, 어떠한 정치세력에도 가담하지 않았다. 공적인 업무 외에는 일체의 하위 관료와 접촉하지 않아, 각종 청탁이나 비리에도 무관하였다. 맹사성이 태종대까지의 역경을 거치고 세종대 급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자기 절제와 도덕성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initial desperate official life of Maeng Sa-seong (孟思誠) who was then regarded as a symbol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Joseon period. He has been considered up to now as a noted premier and cleanhanded government officer, a dutiful child exemplified even in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or a figure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yang-ak (鄕樂) in early Joseon. However, those exemplary characteristics are about him after the period of Sejong.
    Maeng Sa-seong was born in a relatively prominent family an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first place. In addition, as he married the granddaughter of Choe Yeong(崔瑩), the person in the highest authority during the period of King Woo, he could start his official life favorably. However, Wi-hwa-do-Hoe-gun(威化島回軍) in 1388 collapsed his wife’s family, and the meritorious retainers took power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This made him go through a serious ordeal. As he got into trouble, his father, Maeng Hui-do (孟希道) came out of seclusion for a while and aggressively expressed his supportive intension for the founding of Joseon in order to have succeed as officer. He also admired the virtues of Taejo(太祖) and made contact with Jeong Do-jeon(鄭道傳) and Jo Jun(趙浚) as well.
    Despite such effort of his father, Maeng Sa-seong’s official life still did not proceed smoothly. For 13 years and two months, the accurate half of 26 years and four months from the founding of Joseon till the end of Taejong, Maeng Sa-seong was in misery with experiencing one relegation, three discharges, and two exiles. The reason his initial official life suffered from misfortune was related with the fact that he unknowingly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 the meritorious retainers of Joseon and consider early Goryeo as a model to reform the government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aeng Sa-seong unconsciously regarded Goryeo dynasty positively even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Besides, his indecisive attitude and careless work performance were also the causes that restricted his political activities.
    In spite of these several demerits, Maeng Sa-seong was considered as an optimal type of person during the period after Taejong. He was familiar with most of the chief figures during the period of Taejong, but he did not join in any sort of political power. He did not attempt any contact with lower officials at all except for doing public affairs, so he had nothing to do with any request or corruption then. His sudden rise in the period of Sejong after overcoming the adversity till the period of Taejong was thanks to his self-control and morality incomparable with any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