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친환경디자인로드맵의 구축과 3Key 요소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패러다임 및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 연구 (Study on the eco-friendly design paradigm & product design change element through construction of eco-friendly design–roadmap and 3 key elements analysi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12
12P 미리보기
친환경디자인로드맵의 구축과 3Key 요소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패러다임 및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4권 / 155 ~ 166페이지
    · 저자명 : 문재호

    초록

    친환경로드맵상의 디자인패러다임의 변화요인은 1960~70년대 반전운동과 친환경운동의 태동기이고, 70년대는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성이 강조되고 ‘유엔환경회의’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그린소비자’의 등장, ‘지구의 날’이 지정되고 ‘디자이너의 책임의식’이 고취되었다. 1990년대는 국내외 환경규제법규의 강화와 시민환경단체의 운동, 기업의 친환경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친환경적 신․재생 소재개발과 친환경개발의 기업고착화 등이 전산업화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로드맵상의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은, 1960년대는 친환경의 개념과 디자인이 태동하는 시기로, Minster Fuller가 Geodesic dome을 설계하여 ‘친환경’이 대두되고, 1970년대는 친환경의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시기로서 친환경 디자이너의 출현으로 친환경제품의 생산적 의미보다는 계몽적의미로서 부각되었다. 1980년대는 전쟁으로 삶의 질의 향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친환경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발전이 가장 느려진 시기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지속가능 원칙’이 정립되어 친환경디자인의 중요성과 환경문제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는 기능적, 미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개념과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의 개발로, 디자인사고가 전환되어 친환경디자인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design paradigm change on eco-friendly roadmap, 1960s~70s was the birth period of anti-war movement and eco-friendly movement, and in 1970s energy efficiency was emphasized and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established. In 1980s there turned up green consumers, designated the earth day, and promoted the responsibility of designers. In 1990s, law on environmental restriction was strengthened in local & abroad, civic environmental organizations movement and development eco-friendly product by industry was proceeded. In 2000s, it has been carried out in all sectors of industries the eco-friendly new & renewable material development, firm fixation of corporate of eco-friendly development.
    Regarding product design modeling change element on the eco-friendly roadmap, the 1960s was the period of birth eco-friendly concept and design, in which the concept of eco-friendly was emerged by the construction of Geodesic dome by Minster Fuller. and in 1970s was an age eco-friendly was highlight as a social issue, and the appearance of eco-friendly designer was regarded as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stead of the meaning of eco-friendly goods production. he 1980s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of slow development in eco-design perspective, as it was focus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war. In 1990s, the principle of sustainability was settled down thu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and the endeavor for eco-friendly design was started, and in 2000s the thought was changed to the concept & eco-friendly design method development rather than access to functional, aesthetics view poi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design has been in progress in diverse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