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정 소재를 통한 지명전설의 이해와 디지털 맵핑으로의 시각화 ― 충청남도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f Place Name Legends through a Specific Theme and Visualization through Digital Mapping - Focused on Cheona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06
47P 미리보기
특정 소재를 통한 지명전설의 이해와 디지털 맵핑으로의 시각화 ― 충청남도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1호 / 201 ~ 247페이지
    · 저자명 : 김준희

    초록

    이 논문은 ‘물’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천안 지역의 지명전설을 살펴본 뒤, 논의의 결과를 디지털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우선 천안의 구비전승 자료집 현황을 점검하고, ‘물’ 관련 지형의 전설로서 <이 빠진 산>, <용샘A>, <용샘B> 세 유형을 살폈다. <이 빠진 산>은 가장 이른 시기의 지형을 이야기하는데, ‘사기그릇’ 언급을 통해 주요 증거물인 산이 ‘이 빠진’이라는 특성을 지니게 되고 현재와 과거의 차이가 부각된다. 아울러 ‘용샘’ ‘용못’ 등으로 불리는 장소에 대하여 <용샘A>와 <용샘B>가 전승되는데, <용샘A>가 신이한 샘의 ‘고정적’ 장소성을 드러내는 데 반해 <용샘B>는 샘의 신이성뿐만 아니라 샘을 통로로 인식하는 ‘동적’ 장소성을 드러낸다. <용샘B>는 <이 빠진 산>과 함께 ‘수로 이동’을 공유하며, 백제 역사와 설화를 연결시키는 한편, 백제왕 남매의 갈등을 담은 경우 광포설화 <오누이 힘내기>와 구별되는 천안의 남매 갈등 설화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이어서 KML 형식에 기반하며 구글 맵․구글 어스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맵핑’ 과정을 제시하면서 지명전설 논의의 내용을 디지털 지도로 구현하였다. 조사지와 증거물 장소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편 속 장소들을 직선 경로로 연결함으로써 각편에 나타난 제보자의 공간 인식을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지도 제작 결과, <이 빠진 산>와 <용샘B>는 증거물 장소와 추가 장소를 포함하는 공간 확장의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용샘A>에 비해 두 유형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먼 장소들이 연결되어 있고 경로의 범위도 확장되어 있었다. 차후 지역의 설화 문학에 대한 디지털 맵핑이 진전된다면 다양한 전승 양상을 누구나 자유롭고 활발하게 디지털 맵핑하고 그 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place-name legends in the Cheonan area, focusing on the theme of water, and visualizes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a digital map. First, I checked the status of the place-name legend material in Cheonan and examined three types of place-name legends related to water: <Nicked Mountain>, <Dragon Spring A>, and <Dragon Spring B>. The <Nicked Mountain> is related to the earliest type of topography, and the mention of the ‘porcelain bowl’ gives the mountain, the main evidenc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nicked’ and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n addition, <Dragon Spring A> and <Dragon Spring B> are transmitted about places called ‘dragon spring’ and ‘dragon pond’, and while <Dragon Spring A> reveals the ‘static’ place of a divine spring, <Dragon Spring B> reveals not only the divinity of the spring but also the ‘dynamic’ sense of place, recognizing the spring as a passage. <Dragon Spring B> shares the concept of ‘movement through waterway’ with <Nicked Mountain> and connects Baekje history and tales, but it also has value as a 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the brother and sister in regard to King of Baekje,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tale <Onui-Himnaegi(Trial between Brother and Sister)>.
    Next, I presented a ‘digital mapping’ process that can be used with Google Maps and Google Earth based on the KML format to visualize the contents of the place-name legend discussion on a digital map. I tried to visualize the spatial perception of the informants in each episode by separating the places of investigation and evidence, and connecting the places in each episode with a straight path. As a result of the digital mapping, the tendency of spatial expansion was visually similar in <Nicked Mountain> and <Dragon Spring B>. In addition, compared to <Dragon Spring A>, <Nicked Mountain> and <Dragon Spring B> connected relatively more distant places and expanded the scope of the route. If digital mapping of local oral literature is advanced, anyone can freely and actively make digital maps on various aspects of transmission and make use of th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