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내용 맵핑을 통한 미술과 일반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the Measures to Improve General Elective Subject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rough Implementing Curriculum Content Mapping with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Framewor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내용 맵핑을 통한 미술과 일반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 / 15권 / 6호 / 127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정효

    초록

    이 연구에서는 보편적 성격의 교과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일반 선택과목 ‘미술’을대상으로 문화 시민으로서의 역량 함양 및 진로 탐색과 준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지를 탐색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설계에 세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OECD가 개발한 학습 프레임워크의 28개 역량과의 내용 맵핑(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일반 선택과목‘미술’의 성격을 탐색하였고, CCM을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선택과목‘미술’ 의 OECD 역량 반영 범주는 소수의 역량에 편중되어 있고, 반영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선택과목‘미술’의 교육과정은 교과 공통의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 것도, 미술 교과의 역량을 함양하는 것에도 미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술 분야로의 진로 탐색 및 준비를 위한 기능도 미진함을 보여준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체제를 갖춘 해외 교육 선진국의 미술과 일반 선택과목의 성격과 기능과 비교해 보니, 미술 분야에 대해 본격적으로 진로 탐색과 준비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초록

    In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core polic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tudent career-type high school system and student growth.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structured as a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ies', and ‘cultivation of competencies' and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has emerged as key educational tasks. Under the contex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elective subject, ’art’, which is characteristic of ‘common’ and ‘essential’. As a research method,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elective course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ith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Framework,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it contributes to cultivating high school students’ basic literacy as a cultural citizen, and to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s. The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Framework, explored the nature of the general elective subject, ‘Art' and analyzed its'goal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rough CCM. In addition, it differs from Korea in that it examines the existen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nature and function of art and general elective subjects in advanced countries of education abroad, and supports full-scale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n the field of art.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OECD competency reflection category of the general elective subject 'art' was concentrated on a small number of competencies, and the rate of reflection is also low. This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elective course 'art' may fall short of cultivating the core competencies in common subjects and the competencies of the art subject.
    Furthermore, the role for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n the field of art are also insufficient.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some proposals were made for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and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