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토리텔링 시어터를 활용한 영미드라마 수업: 『에브리맨』 수업을 통한 사례 분석 (Applying Storytelling Theater for College-level Drama Classroom: A Case Study of Medieval Morality Play, Everyma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8.09
29P 미리보기
스토리텔링 시어터를 활용한 영미드라마 수업: 『에브리맨』 수업을 통한 사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미문학교육 / 22권 / 2호 / 77 ~ 105페이지
    · 저자명 : 이소희, 황수경

    초록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Storytelling Theater as a pedagogical approach for college-level drama classroom in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While minimizing out-of-class activities to lessen the burden students might have felt about drama classes, but still encouraging them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performative imagination or directorial intention embedded in dramatic scripts, we propose to utilize Storytelling Theater as an initial step to introduce the plays that are considered “too difficult” or “too distant” for the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Converging Paul Sill’s Story Theater, Physical Theater developed in America and newly emerged Storytelling tradition in England, we designed a class module incorporating narration play, choral speak and storytelling theater. To experiment its effectiveness for English major students, we chose a medieval morality play, Everyman, as a specimen text and conducted a Storytelling Theater workshop to check how it promo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lay’s theme, technique and purpose.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Medieval ‘educational theater,’ experienced actual practice with the concept of allegory, and picked up the crucial themes that could be improved for more sophisticated discussion. Storytelling theater might not be the best or the only pedagogical solution to improve current drama classes taught in English department, but instructors might want to consider its strengths and loophole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literary and theatrical education while teaching dramatic literature for English majors.

    영어초록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Storytelling Theater as a pedagogical approach for college-level drama classroom in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While minimizing out-of-class activities to lessen the burden students might have felt about drama classes, but still encouraging them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performative imagination or directorial intention embedded in dramatic scripts, we propose to utilize Storytelling Theater as an initial step to introduce the plays that are considered “too difficult” or “too distant” for the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Converging Paul Sill’s Story Theater, Physical Theater developed in America and newly emerged Storytelling tradition in England, we designed a class module incorporating narration play, choral speak and storytelling theater. To experiment its effectiveness for English major students, we chose a medieval morality play, Everyman, as a specimen text and conducted a Storytelling Theater workshop to check how it promo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lay’s theme, technique and purpose.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Medieval ‘educational theater,’ experienced actual practice with the concept of allegory, and picked up the crucial themes that could be improved for more sophisticated discussion. Storytelling theater might not be the best or the only pedagogical solution to improve current drama classes taught in English department, but instructors might want to consider its strengths and loophole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literary and theatrical education while teaching dramatic literature for English maj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