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맥』에 나타난 리저널리즘의 탈냉전지(知)와 트랜스내셔널/로컬의 젠더 2 —문학비평을 중심으로 (Methods of Regionalism and Gender of Transnational/Local in Chong-Mag 2 : On Literary Criticism)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08
46P 미리보기
『청맥』에 나타난 리저널리즘의 탈냉전지(知)와 트랜스내셔널/로컬의 젠더 2 —문학비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3호 / 294 ~ 339페이지
    · 저자명 : 김복순

    초록

    4.19 이후 리저널리즘의 재편 요청과 관련하여, 『청맥』의 ‘제3방안’은 아시아 리저널리즘의 제5계보를 제시한다. 제5계보란 반둥정신을 체화한 것으로서, 반제반식민과 ‘자유로서의 발전’론이 결합한 형태였다. 당대 잡지 중 이에 속한 경우는 『청맥』이 유일하다. 이 계보에서는 ‘빵과 자유’를 동시에 요청하면서 발전의목적으로 ‘자유·민주의 신장’을 역설하였으며, 미국에 대해 객관적 시선으로 천착하고자 했다.
    이러한 입장은 문학비평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청맥』에서는 이식문학론·전통부정론을 강렬하게 부정했다. 남의 눈(義眼)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문학을의안문학, 매판문학이라 맹렬히 비판하였고, 서구화=근대화의 관점을 공격하면서 ‘또 다른 보편’을 준비하고 있었다.
    전통부정론과 이식문학론은 추녀 콤플렉스로 명명되었다. ‘주체성 없음’을‘성적으로 은유’하는 것으로서, 남성/여성=선/악=미/추의 이분법 하에 배치되었다. 『청맥』은 서구(일본)문학을 타자화하여 한국문학의 정체성 및 주체적 민족문학을 수립하고자 했으며, 그 수단으로 ‘여성(성)’이 ‘부정적’으로 동원되었다. ‘추함’이 예로부터 성의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는 점에서 추녀 콤플렉스는 ‘이중적’으로 문제적이다. ‘슬픈 메타포’로서, 추녀 콤플렉스는 주체성을 강조했던 반둥정신과 호몰로지였다.
    조동일은 민족적 리얼리즘론 및 새로운 ‘문학사 방법론’을 주창하였다. 여기서 여성은 이중삼중의 당대 모순의 최대 피해자인 동시에, ‘문학의 주체’ ‘해방의주체’로 자리매김되어 있었다. ‘여성문학’의 범주를 설정함으로써 여성은 더이상‘한국학의 타자’가 아니었다. ‘여성문학비평적 민족문학론’의 계보를 창출해 보여 주는 등 혁명적인 사유의 대전환을 노정하였다.
    『청맥』의 참여론은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뿐 아니라 ‘방법론’까지 제시하고 있었으며, 그 자체가 민족문학론 및 리얼리즘론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백낙청의 참여론은 다른 논자들과 ‘매우 다르게’ 민족문학론적, 리얼리즘론적 성격을거의 띠고 있지 않았다. 백낙청은 비젠더적이었지만, 나머지 논자들은 남성중심적이었다. 여기서 여성은 참여·실천 및 행동의 주체도, 인식주체도 아니었다. 역사의 주체는 남성일 뿐 여성은 이에서 ‘소거’되어 있었다.
    『청맥』의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조동일의 업적 외에도, 여성문학 비평가를발굴·소개하고 여성노동문학의 가능성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여성문제의 특수성을 피력하는 등 여성문학비평의 가능성을 확인시키고 있었으며, ‘여성 노동 수기’라는 장르를 설정하여 여성노동자를 기록의 주체, 역사의 주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이상 『청맥』의 비평으로 1960년대 문학(비평)의 독자성이 확보되었다. 『청맥』은 이미 1960년대 중반에 리얼리즘을 핵심 창작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민족문학론과 더불어 리얼리즘을 논의의 ‘중심’으로 재점화해 내고 있었다.
    따라서 『청맥』의 민족문학론을 『창작과 비평』의 전사(前史)로 평가한다거나, 리얼리즘 및 민족문학론의 계보를 카프에서 해방 직후를 거쳐 『창작과 비평』으로설정하는 것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부적절한 평가이다. 그간 부당하게 ‘전유’ 되어 온 『창작과 비평』에 대한 비평사적 오류는 수정되어야 한다.
    『청맥』은 1960년대의 가장 진보적인 잡지였지만, 젠더 인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여러 논자들의 ‘주체’ 개념에 여성(성)을 배치하고 있지 않아, 진정한 ‘주체’, ‘해방’과는 ‘아직’(not-yet) 거리가 있었다.
    『청맥』의 필자들은 타 잡지에서도 활동하였으나, 가장 문제제기적이고 날카로운 핵심적 내용의 글은 『청맥』에 게재하였다. 『청맥』의 비평은 ‘잃어버린 진보의 꿈’이 아니라 ‘새롭게 건축되는 진보의 현실’ 그 자체였다.

    영어초록

    Chong-Mag was a journal that embodied 4.19 spirit and Bandung spirit. It belonged to the fifth genealogy of “Asian regionalism.” The fifth genealogy is a combination of anti-imperialism, anti-colonialism, and development theory, and Chong-Mag was the only journal of the time that belonged to it.
    Such perspectives were also clearly revealed in literary criticism. Chong-Mag strongly criticized transplantation literary theory and tradition theory, stating that both approaches simply interpreted the world through other people’s eyes. Chong-Mag critized them as proponents of imitative literature and comprador literature. Chong-Mag was attemping to theorize an “alternative universality” while attacking the perspective of equating westernization with modernization.
    Transplantation literary theory was referred to as the Ugly Woman Complex, which, as a “sexual metaphor” for a “lack of identity,” was positioned under the dichotomy of male/female = virtue/vice = beauty/ugliness. Chong-Mag wan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by otherizing Western (Japanese) literature, and “femininity” was used “negatively” to further this objective. The Ugly Woman Complex is an homology with Bandung’s spirit, which emphasizes subjectivity and pluralization.
    Cho Dong-il promoted the theory of national realism and ‘methodology of literary history.’ According to these perspectives, women were the supereme victims who were entangled within double- and triple-layered contradictions; simultaneously, they were positioned as “literary subjects” and “liberation subjects.” Women were no longer “the other of Korean studies.” Chong-Mag suggested a proper approach to dealing with “difference.” The engagement theory of Chong-Mag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ussions of the 1960s. Compared to the third discussion, the discussion in Chong-Mag covered various ideas in-depth. This is a reflection not only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but also a “methodology” of engagement. Therefore, Chong-Mag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history of criticism. Ideas suggested by Baek Nak-cheong were Agender, whereas the rest of the discussions maintained male-centered ideas. In their ideas, women were neither the subject of participation, practice, and action, nor perception. Men were regarded as the main subjects of history and society, while women were“‘eliminated” from it.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Chong-Mag is that it reveals the potential of feminist literary criticism and women’s labor literature.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feminist criticism by expressing the particularities of women’s problems. In addition, the genre of “women’s labor memoirs” was established, positioning female workers as the subjects of records and history. National realism and women’s literary criticism as argued by Cho Dong-il suggests “the aesthetic of difference.” The position of Chong-Mag was firm as far as the history of criticism is concerned. Therefore, the critical error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meanings of the history of criticism of Chong-Mag must be urgently correct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