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제1세대 한국학자’의해방 전후 한국 인식 -조지 맥아피 맥큔의 Korea Today를 중심으로- (The view of a ‘First Generation of Korean Scholar’ of America on Korea around Liberation -Through Korea Today by George McAfee McCun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08
32P 미리보기
미국 ‘제1세대 한국학자’의해방 전후 한국 인식 -조지 맥아피 맥큔의 Korea Today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58호 / 117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서연

    초록

    이 글은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 McCune, 1908~1948)의 저서 Korea Today에 나타난 그의 한국 인식을 다룬다. 맥큔은 종전 후 자신의 학문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학계에 ‘제1세대 한국학자’로서 정착하고자 했다. 맥큔은 전쟁 전후 한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환기하려 노력했다. 미국의 지역연구 흐름에서 한국에 대한 수요나 관심은 낮았지만, 맥큔은 한국학자로서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하려 노력했다. 그는 국무부 극동국에 한국문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설을 제안했으며, 모교 버클리대학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3년 동안 한국사․극동외교사․한국어 등을 강의했다. 또한 극동 관련 학술지(FEQ, FES, PA)에 한국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로 많은 글을 투고했다. 한편 그는 1882년 체결된 조․미 수교 관련 자료를 해제하기도 했다. Korea Today의 집필 및 출판은 단지 맥큔의 개인적 연구 경력뿐만 아니라 1940년대 미국 제도권 학계가 지역연구에 보인 관심과 맞물려있었던 것이다.
    Korea Today는 일종의 한국 관련 자료집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해방 후 남북한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만 책의 구조상 남․북한의 대칭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전체적으로 남한의 상황과 미군정의 정책 분석이 서술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 소련 및 북한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내용이 다소 불균형해진 점은 ‘미국 지식인’으로서 맥큔이 마주한 한계였다. 맥큔은 일제 식민통치의 경제적 착취성을 전제로 하되 한국 정치의 낙후성이 경제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기존 선교사 출신들이 한국 정치의 분열성을 한국인의 기질과 연관시켜서 분석했다면 맥큔은 이를 능력의 부재가 아닌 경험 부족이라는 의견을 분명히 했다. 또한 한반도에 수립될 정치․경제체제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 도입 후 산업화로의 이행 및 미국식 자유민주주의가 수립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견지하며 미국 제도권 학계 지식인의 면모를 보였다. 한편 맥큔은 한국인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통일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한국인들에 대한 그의 심정적 공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Korea Today는 한국에 관한 관심이 저조한 1950년대 초반에 발간되어 사람들의 흥미를 제고시켰으며, 한국학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 또한 사료의 활용․검증 측면에서 ‘한국 전문가가 쓴 역사 개론서’라는 위상을 공고히 했다. 더불어 Korea Today의 간행은 미국 한국학의 출발 시점이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1950년 초에서 2차대전 종료 직후로 당겨짐을 시사한다.
    맥큔의 한국 인식은 미국 제도권 지식인의 사고와 한국․한국인에 대한 심정적 동조가 혼재되어있는 다층적 면모를 보인다. 맥큔의 한국 인식의 특수성이 유년기 한국 경험에서 나온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맥큔과 유사한 경험이 있는 다른 ‘제1세대 한국학자’들의 한국 인식도 함께 살펴봐야 더욱 포괄적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이는 기존 친한․반한의 이분법적 틀을 넘어 맥큔과 같은 인물들이 가지는 다양한 정체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George McAfee McCune’s view on Korea through his book Korea Today. After WWⅡ, McCune wanted to establish himself as a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 in American academia based on his academic expertise. Around war time, he put a lot of effort to make U.S. get interested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in the U.S. Area Studies had little interest in Korea, McCune tried to secure his own territory as a Korean scholar. He suggested to the Far Eastern Bureau in the State Department to open a new program for training experts in Korean issues, and lectured on Korean history, Far East diplomatic history, and Korean for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at his alma mater University of Berkeley. He also contributed many articles to the journal(FEQ, FES, and PA)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Korea. Meanwhile, he published a book dealing with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was not only for as a historian, but also related with the interest of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in Area Studies in the 1940s.
    In Korea Today he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Korea, which was divided after after liberation.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the book requires a symmetrical analysis of the South and the North, overall,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is mainly about the South Korea and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It was McCune’s limitation as an “American intellectual” that the contents were disproportionate because resources from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were inaccessible for him.
    McCune argued that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on Kor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developed Korean politics was preventing economic development. According to McCune, however, if missionaries had lived in Korea long enough to analyze analyzed the divisiveness of Korean politics by linking it to the temperament of Koreans, it would be clear that it was not a lack of ability but a lack of experience. Regar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o be established on the Korea, he maintained his belief that ultim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capitalism,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merican-style free democracy should be established, which shows the aspect of intellectuals from the America’s institutions. Meanwhile, McCune argued that unification would be essential for Koreans to be happy, reflecting his emotional sympathy for them.
    Korea Today was published in the early 1950s when the U.S. academic interest in Korea was low, raising people's interest and filling the gap in Korean Studies. It also solidified its status as a “History book written by the Korean expert” in terms of the use and ver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studies in the U.S. will be moved from early 1950 to right after the end of the WWⅡ.
    McCune’s view on Korea shows a multi-layered aspect of the thoughts of intellectuals in the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and the emotional sympathy for Korea and Koreans.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unique features of McCune’s view on Korea derived from his experience in Korea when he was you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views on Korea of other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s" who have similar experiences with McCune is necessary. This article to look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pro-Korean and anti-Korean, and to examine the various identities of characters like McCu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