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문맥(漢文脈)의 근대와 순수언어의 꿈 -한국 근대 개념어 연구의 과제- (Modernization of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s and Dream of Pure Language -A Study on Korean Modern Conceptual Word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07.10
35P 미리보기
한문맥(漢文脈)의 근대와 순수언어의 꿈 -한국 근대 개념어 연구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16호 / 99 ~ 133페이지
    · 저자명 : 황호덕

    초록

    오늘의 한국인은 漢‘文’을 사용하고 있지도 않고, 한문의 독해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한문이라는 서기체계criture 자체는 이미 문헌학적 대상으로 멀어져가고 있다고 말해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권위의 원천으로서의 한문이라는 상위 언어체계임도 분명하다. 전체가 한문투성이의 한 문장으로 작성된 대한민국헌법전문은 현대 한국인의 사유를 구성하는 '개념'의 질서가 중국과 (특히) 일본을 경유한 어휘들에 구성되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당대 어휘에 대한 한 보고에 따라면 근대형성기의 일본계 한자어들 중 82%가 전문어나 학술용어, 정치사상 영역의 추상 개념과 같은 사유와 정치의 질서를 직접 구성해 온 언어라는 것이며 무엇보다 이는 한문의 결구력에 의존해 만들어졌다.나는 이 글에서 근대 개념어=신문명어를 통해 작업했던 두 작가-李人稙과 卞榮晩의 상반된 작업을 비교하는 일을 통해, 근대 개념어가 제기하는 '기원'(론)에의 요청과 근대적 언설 공간에 있어서의 '효과'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이인직의 血의 淚의 경우를 통해 나는 이 소설에서 신문명어들만을 추출함으로써 소설의 서사 자체가 짐작 가능함을 보였다. 무엇보다 이 소설은 신문명어들의 연쇄를 통해 일본, 그리고 미국으로 그 공간을 넓혀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 연쇄는 식민화의 채널을 연상시킨다. 문학의 영역 안에서,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抱合(incorporation)은 창작, 교육, 비평과 관련하여 동기화되었고, 이 자체가 세계사적 과정의 일부였다. 성숙은 문명화와, 문명화는 식민화와 연동되어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신문명어는 이 과정을 매개하고 자연화했다. 다음으로 나는 이인직과 대조되는 또 다른 사례, 즉 한글과 국한문체, 한문이라는 다양한 서기체계를 가지고 작업했던 변영만의 어원학적 사고를 논했다. 근대 개념어에 대한 변영만의 생각은 “세계의 何國을 막론하고 절대적의 純土語로만 조직된 국어는 없는 법이다……좀더 ‘어원학적(Etymologically)으로 此를 觀考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주장 속에 그 핵심이 담겨 있다. 일본의 근대 문학사상을, 서양이라는 원천과의 모방적 관계(“개인적민족적 파산상태”)로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하거나 한국 한문학을 당송팔대가의 복제로서 통박하는 그의 관점은, 동서비교론과 古今文學 비교론 속에서 사산되어 온 번역적 재현의 문제를 다시금 상기시킨다.어떤 의미에서 일본의 근대 개념사 연구와 달리, 한국의 그것은 생산이나 변용보다는 식민화와 그것을 넘어서려는 순수한 언어≠순수한 민족어를 향한 救濟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근대 개념어는 번역적 재현의 문제보다는, 언어 침식의 문제와 더 깊은 관련을 가진 것처럼도 보인다. 그러나 여기서도 번역의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서 존재한다. 왜냐하면 근대 개념어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근현대 한국어가 지속적으로 갈망해 온 ‘순수 언어’pure language/reine Sprache의 꿈이 결코 한글 안에서는 달성될 수 없는 과제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 언어'는 한국어 안에서가 아니라 그 밖-그러나 일본어라고도, 한문이라고도, 또 영어라고도 말할 수는 없는 장소에 존재한다. 나는 이 글에서 그러한 전통적 서기체계와 외부성의 개입을 한문맥의 근대라 불렀고, 여기에 구문맥(歐文脈)의 문제를 포함시켜 논했다. 순한글화와 한글로 사유하는 일이라는 과제는 개념의 차원에서는 결코 달성될 수 없는 꿈이며, 오히려 그것이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 순간 사유는 그 근원을 상실한 채, 근원적 불가능성에 봉착하게 된다.

    영어초록

    Not only was the Chinese letters being hardly used by the people in Korea, but also there is few people who are able to read the Chinese writing. It might be not an erroneous idea that the écriture itself of Chinese writing is being out of the philological object. It is, however, certain that when using Sino-Korean words, the Chinese letters are the source of authority, being considered to be a superordinate language system.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drawn up with a single sentence full of Chinese letters, symbolizes the order of a 'concept' constituting the thought of the present Korean has been formed by the vocabulary passed through China and (especially) Japan. For example, 82% of Sino-Korean words of Japanese origin,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formation, is a language which forms itself the order of thought and politics such as technical and academic terms, and abstract ideas in the world of thought and politics, according to a report on the vocabulary at that time. Such modern words were mad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ability of the Chinese letter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rigin (theory) demanded by the modern conceptual words and the matter of 'effects' in the modern space of discourse by comparing the contrary works of In-Jik Lee and Young-Man Byeon, as two writers who considered modern conceptual words as new civilized ones. Firstly, by abstracting the new civilized words only from『血의 淚』(Hyul-ei-Noo) written by In-Jik Le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narrative itself of the novel. The novel unfolds its space to Japan and then to United States through the series of new civilized words, and the series remind us of the channel of coloniza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e incorporation of colonization and imperialism was synchronized, being related with creation, education and criticism, and that was part of the process of the World History. In a sense, our 'maturity' in novels was liked to civilization and the civilization liked to colonization. The new civilized words, it also means modern conceptual words, at some extent, intermediated and naturalized the linking process.
    And then, this study dealt with the etymological thinking of Young-Man Byeon, as an example contrast with In-Jik Lee, who worked with various systems of écriture, say, Hangeul (Korean letters), Korean letters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etters also. He said, defining the modern conceptual words, "no country in the world has the national language composed of its pure words only…… it needs to think them more etymologically." His attitude in which the Japanese modern literature and thought have an imitative relation to the source of the West ("An individual and national state of bankruptcy) and Chinese classics in Korea is copying of the Eight Great Masters during Tang and Song dynasties in China(唐宋八大家) reminds us of the issue of the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as having been scattered in the comparative the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studies on the conceptual history in Korea have been rather connected, to some extent, to the relief which pursues pure language≠pure ethnic language, overcoming the colonization, than production and modification unlike the studies on the modern conceptual history in Japan. The modern conceptual words in Korea appears to have a more considerable relation with the issue of language erosion than the issue of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The translational issue is, however, existing as a material task also here, for the studies on modern conceptual words make us understand the dream of a pure language (reine Sprache), as desired eagerly by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hich will never be achieved within Hangeul. The pure language is existent not inside the Korean language, but outside the language-it, however, exists in another space th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languages. In this study, such traditional écriture and outside intervention is called the modernization of the context in the Chinese writing, and, at the same time, issues of the European language are included for discussion. The task of using and thinking with the pure Korean language is a dream which will never be realized from the dimension of concept, and the moment we think the dream will come true rather brings about a fundamental impossibility, losing its origi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