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맥』지 아시아 국가 표상에 반영된 진보적 지식인 그룹의 탈냉전 지향 (The Post-Cold War Orientation of Progressive Intellectual Groups Reflected in Symbols of Asian Countries in Cheongmaek)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10
42P 미리보기
『청맥』지 아시아 국가 표상에 반영된 진보적 지식인 그룹의 탈냉전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39권 / 295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주현

    초록

    『청맥』은 동시대 다른 잡지에 비해 아시아 관련 글에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 특히 현직 기자와 젊은 강사의 글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제호처럼 젊은 잡지를 지향했던 편집 이념을 상기시키는 동시에 ‘아시아 민족주의’에 대한 신진 세력들의 관심을 반영한다. 1960년대에 A·A 지역에서 민족주의는 양극 체제를 거부하는 신생 독립국의 국가 운영 이념으로 유통되었다. 『청맥』의 필자들은 이에 주목하여 탈냉전 시대를 이끄는 제3세력의 움직임에 비추어 한국의 대외 관계와 국내 정치 현실을 진단했다.
    『청맥』에 재현된 아시아는 ‘동양’과 달리 이질적인 체제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장소이며, 국가별로 특징적인 역할이 있다. 먼저 중공과 월맹은 미/소 중심 양극 체제를 붕괴시키는 주역들이다. 이들은 각각 중소 분쟁, ‘베트콩의 전쟁’을 거쳐 소련과 미국에 대항하는 ‘주체성’을 인정받는다. 둘째, 비동맹운동을 선도한 인도네시아는 주로 수카르노의 ‘교도(敎導) 민주주의’ 덕분에 자기 반영의 거울로 기능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민족적 민주주의에 대한 반감이 커지자 교도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도 국가 주도 ‘경제 발전’에서 파괴된 ‘민주주의’로 이동하며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한편 1965년에 이루어진 한일 수교는 우방 개념을 되묻는 계기가 되었다. 『청맥』 의 필자들은 탈냉전 시대의 유동적인 우방관을 근거로 우방 선택에 통일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주장은 수교를 했으되 여전히 심리적 적국인 일본, 그 일본과 우방 되기를 강제한 맹방 미국에 대한 고정된 관점에 도전하는 새로운 우방관을 요청한 점에서 비판적 지식인다운 태도를 드러내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빌려 온 비동맹, 중립주의의 유동적 우방 개념은, 아시아 민족주의에 대한 분석이 그랬듯이, 반공 국가 한국에서는 현실화되기 어려운 ‘지식’이었다. 그러나 반공주의가 내면화되던 시기에, 아시아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와 호의를 통해 개진된 『청맥』의 아시아 담론은 분단국 지식인들에게 민족 통일을 상상케 한 ‘국제적’ 지식으로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Cheongmaek provided more Asia-related articles compared to other magazines at that time. The articles of active journalists and young instructors were prominent, reflecting the interest of newly arising intellectuals in 'Asian nationalism' and reminding us of their philosophy to publish a new and young medium as implied in the magazine name. In the 1960s, nationalism was available as a philosophy to run new independent states which denied the bi-polar system in Asia. Authors of Cheongmaek noticed this and diagnosed of Korea's external relations and domestic politics based on movements of the third force which led the post-cold war era.
    Asia, when reproduced in Cheongmaek, was a 'dynamic' place where heterogeneous systems coexisted unlike 'the Orient' and there were state-specific roles. Most of all, communist China and Vietnam were protagonists which destroyed the bipolar system divided into the USA and the USSR. Respectively, they secured their 'original identities' against the two powers through China-USSR conflicts and the war of Viet Cong, respectively. Second, Indonesia worked as a mirror of self-reflection thanks to 'guided democracy' of Sukarno. However, as national democracy meet harsh criticism in the country, the evaluation of guided nationalism met a contrasting trend as the focus was being shifted from the state-led 'economic development' to destroyed 'democracy'.
    On the other hand, the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hip in 1965 was the starting point to ask and discuss the concept of allies. The authors for Cheongmaek pointed out that unification had to be considered based on the flexible concept of allies in the post-cold war era. This maintenance was to show the attitude of critical intellectuals in terms that they suggested new ally concepts challenging the stereotypic perception about the USA as an absolute ally which forced the country to become allies with Japan, a psychological enemy despit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e flexible ally concepts of non-alignment and neutralism borrowed in the process, as was the analysis of Asian nationalism, were the types of 'knowledge' which would be hardly realized in anti-communist countries like Korea. However, the discourses on Asia in Cheongmaek which were unfolded based on understanding and favor of Asian nationalism when anti-communism was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were meaningful as 'international' knowledge which enabled intellectuals in a divided country to imagine national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