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래스대이어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 담론 (Alasdair MacIntyre’s Ethical Discourse of Communi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알래스대이어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1호 / 189 ~ 220페이지
    · 저자명 : 박민규

    초록

    ‘공동체’라는 말은 학계, 종교, 그리고 다른 여러 분야에 이르기 까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언급되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공동체’라는 용어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윤리학, 사회학, 문화학,그리고 다른 일반학문에 이르기까지 가장 애매하게 사용되는 용어들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 담론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정치적 단체나 사회적 단위의 재편성에 대한 관심보다는“어떻게 하면 인간성을 좀 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가?”라는 문제이다. 그래서 인간성의 안전과 함양에 목적을 둔 공동체 구성원들은 인류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또 개선하기 위해 매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공동체에 대한 담론은 서술적이며 규범적인 질문을 갖고 있다. 즉, 공동체가 무엇이고, 또 그것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대한 물음 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도덕 철학자인 알래스대이어 맥킨타이어(Alasdair C.
    MacIntyre, 1929-)는 공동체라는 용어를 그의 도덕철학 사상과 함께논의하고 있다. 그는 공동체 속에서 그리고 공동체를 통하여 참다운 인간의 행복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인간집단의 이상적인 유형으로 보고있다. 그는 공동체에 관한 기본적인 도덕적 연구를 서양의 역사 및 철학적 전통에 기반을 둔 덕(德,Virtue)의 이론과 함께 다루고 있다. 이러한 담론은 목적론적 윤리(teleology), 전통에 입각한 합리성(tradit i o n-b o u n d-rationality), 그리고 인간 본성을 연고적 자아( e n c u mbered self)로 보는 이론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종교 다원주의, 다문화 사회와 삶의 방식,종교 및 물질주의적 가치관의 대립, 정치권력, 그리고 급변하는 국제사회와 연관된 국내 정책들은 공동체의 개념을 더욱더 복잡하게 만들고있기 때문이다. 또한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에 대한 이해는 철학적이며윤리적인 담론에 이론적 측면으로 공헌을 해왔지만 서구의 백인 중산계층을 제외한 다른 인종과 사회, 그리고 종교와 문화적 소수자들의 공동체를 위한 현실적 대안과 그들의 인간성 함양을 위해서 적절한 대답을 제시해주고 있지 않다. 즉 서구의 주류 사회가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외시킨 주변 공동체들의 경계와그 구성원, 그리고 인간성 함양을 위한 현실적인 도덕적 방향들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
    위의 시각으로부터, 필자는 본 소고에서 맥킨타이어의 저술들을 연구 분석하고, 그가 보편주의적인 근대사상에 맞서 어떻게 공동체 사상을 발전시켰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공동체 연구에 있어서 그의 도덕철학이 개념, 성격, 그리고 구체적인 덕의 실현성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있으며, 또 어떻게 통찰을 내리는지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에 대한 그의 사상이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타당성과 한계성을 지니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평가하면서 결론 맺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word “community” itself may be both the most popular and vaguest word in ethics, sociology, cultural studies, and even common conversation today. One of the main themes in the ethical discourse of community is not the political organization or reorganization of our societies but the question of how humanity is to insure its survival. The goal of community is, for humanity, waiting expectantly to begin a new life. Community should be actualized by its members for the caring and curing of civilization.
    This study of Alasdair MacIntyre’s ethical discourse of community examines how he utilizes the word “community” in his moral philosophical discussions. He presents a foundational moral inquiry of community based on his virtue theory which is in the overall Western history and philosophical tradition. His main implications in his discourse of community are his ethical method of teleology, his emphasis on tradition-bound rationality, and his view of human nature as encumbered self. His theoretical foundation of virtue ethics also provides the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in religious ethics on the problem of community.
    By critically reflecting on his ethical discourse of community, I argued that his quest forand interpretation of human community is limited to the modern discourse of community. The meaning of community has been complicated by cultural thoughts and ideas, religious and capitalist values, political power, and national policy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Although his idea of community contribute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ethical discourse on community to social moral philosophy today, his idea of community is not clear, whether he is discussing the ancient Greek’s koinonia or Christian vision of koinonia, or gemeinschaft. He combines all of three ideas in order to place his idea of community in contrast to modern individualism. In addition, his idea of community is idealistic and limited in its approach to the moral theory of marginalized communities in a pluralistic society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