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남천, 식민지 말기 ‘역사’에 관한 성찰 -「경영」과 「맥」을 중심으로 (Kim Nam-cheon, Speculation on “History” in Late Colonial Era : Management(經營) and Barley(麥))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김남천, 식민지 말기 ‘역사’에 관한 성찰 -「경영」과 「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7호 / 271 ~ 296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형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천의 소설론을 통해서 「경영」과 「맥」 연작을 재독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은 두 작품에서 김남천이 이 시기 조선 사회를 식민지 법과 자본에 의해 재생산되는 세계로서 묘사하는 한편, ‘맥(麥)’의 비유를 통해서 당대 사회에 관한 역사적 성찰을 감행했음을 밝혀준다.
    김남천은 리얼리즘에 대한 강한 믿음 위에서 소설 장르에 관한 논의를 전개했다. 그에게 리얼리즘 문학이란 당대 사회에 관한 비판적 인식을 추구하는 문학으로서 고발문학과 관찰문학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때 그가 의존한 것은 무엇보다도 ‘부정의 부정’, 즉 이중부정의 논리였다. 김남천은 식민지 말기 조선 사회의 부정적 면모들을 아무런 왜곡 없이 부정적인 것들로서 묘사할 때, 비록 부정적인 방식일지라도 그 사회의 지양태(止揚態)(사회적 이상)에 관한 포착이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와 같은 리얼리즘 구상은 소설 장르의 경우 ‘전형적 성격들의 풍속도’라는 규정으로 구체화되었다.
    「경영」과 「맥」에서 김남천은 식민지 말기 조선 사회에 관한 비판적‧역사적 인식을 추구했다. 우선 김남천은 아파트 사무원으로 일하면서 오시형의 출소를 위해 사법 영역에도 능통하게 되는 최무경의 모습을 통해서 식민지 조선인들의 일상적 삶이 식민지 법과 자본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김남천은 인간의 역사를 ‘보리’에 비유함으로써 당대 조선 사회의 역사에 관한 성찰을 감행했다. 그는 사회적 이상이나 바람직한 미래에 관한 주관적 상상물을 제시하기보다, ‘보리’의 비유에 의존함으로써 당대 사회에 관한 정밀한 묘사를 제시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방식일지라도 사회적 이상이나 바람직한 미래를 포착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 결과 김남천은 당대 사회의 부정적 면모를 묘사하는 가운데 식민지 법과 자본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의 ‘비약’에 관해 성찰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Management(經營) and Barley(麥) authored by Kim Nam-cheon using his own view of novel.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world which as he described was reproduced by the capital and colonial laws and on how he looked at the situation of later colonial ear.
    Kim Nam-cheon developed the discussion on the novels based on realism. The realism literature for him was one of literature by which he can criticize and observe the society he was in. The realism literature not only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then-current society concentrating on contradiction, conflict, antagonism and fraud, but also criticizes and accused the then-current situation. In his literature, the recognition of the society included the criticism of the society. In addition to the critical view of the society at that time, the realism literature for him also mean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society. This logic he adopted was negation of negation, or double negation. He thought that if the late colonial era was depicted as undesirable society without any deformation, the description of social ideal form may be possible even if it is depicted in a negative way. The kind of realism was embodied in the picture of custom(風俗圖) of typical characteristics for his novels. The custom(風俗) here meant not only the social institutions organizing the specific living types but also their ideologi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lso indicated the concept of the hierarchical and classical existence of people (ideological subjects) living in that society. Therefore, the novel was one of the literature for criticizing the society at that time using the custom an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It was also a means of describing the social ideal and desirable future in a negative way.
    In both novels of Management(經營) and Barley(麥), Kim Nam-Cheon tried to take a critical look at the Joseon society in late colonial era using the characters of Choi Mu-gyeong, Oh Si-hyeong, Lee Gwan-hyeong and Choi Mu-gyeong's mother. First of all, Kim Nam-cheon showed how much Korean people were dominated by colonial laws and capitals at that time, through the figure of Choi Mu-gyeong worked as a clerk in an apartment management office and mastered a judicial circle by studying the laws in order to help Oh Si-hyeong get out of a prison.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ideological relation in Joseon society through Oh Si-hyeong's plural view of history, Lee Gwan-hyeong's skepticism, Choi Mu-gyeong's active conformism and the mother's pre-modern ethics. The Joseon society in late colonial era depicted in Management and Barley was not only dominated by the colonial laws and capitals but also the plural view of history (Imperialist ideology), skepticism, active conformism and pre-modern ethics. Kim Nam-cheon tried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at society by comparing the human history of that time to ‘barley’. The ‘barley’ here means the history of ‘repetition’ and history of ‘jump’ at the same time. Instead of suggesting the social ideal and desirable future with subjective imagination, he tried to compare it to the barley, thus suggesting the precise depiction of that society but also catching the social ideal and desirable future even though he used the negative way. Though he did not suggest us the bright vision on the history, but he tried to show us the jump of a society which was dominated by colonial laws and capitals using the negative description of that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