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 소장<雜歌>의 성격 (Characteristics of in the Frederick McCormick Collection, Claremont Colleges Library, US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2.01
38P 미리보기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 소장&lt;雜歌&gt;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2호 / 299 ~ 336페이지
    · 저자명 : 권순회

    초록

    본고에서는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에 소장된 가집 『靑邱樂章』 소재 『雜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성격과 유형을 파악하였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靑邱樂章”이라는 제명의 표지에 성격이 다른 가집 2종과 합철되어 있다.
    2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서지적 특성에 대해 살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총 52장 104면 분량이다. 글씨는 행초체(行草體)로 면당 12행씩 줄글 형태로 필사되어 있다. 필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단일하다. 1면에서 72면까지는 시조 400수를 수록하였는데 3수가 중복 된다. 이 가운데 173수가 시조창 형식과 같이 종장 말음보가 생략되어 있다. 신출 작품은 총 10수이다. 이외에 악곡이나 작가 등 부가 정보를 일체 수록하지 않았다. 73면에서 104면까지 장가 16편이 수록되어 있다.
    3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편집 층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조 400수는 편집 층위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조창 → 여창 가곡 한바탕 → 남창 가곡 한바탕 → 이삭대엽 유명씨/무명씨 → 시조창’ 순으로 노랫말을 배열한 사실이 드러났다. 장가 16편도 갈래 구분 없이 가사와 잡가 작품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사와 잡가에 대한 당대의 시각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했다.
    4장에서는 3장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가 어떤 성격의 가집인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를 가곡과 시조, 가사, 잡가의 노랫말을 망라한 종합 가집으로 규정하고 1910년대 집중적으로 간행된 이른바 활자본 잡가집의 선행 형태로 파악했다. 시조창 가집으로 널리 알려진 『남훈태평가』도 이러한 유형의 가집으로 보았다.
    그 동안 조선 후기 가집 연구가 가곡과 시조창의 구도로 진행되면서 이러한 유형의 가집이 설 자리가 마땅치 않았다. 하지만 시조, 가사, 잡가가 부상하는 19세기 후반 이후 연행 상황을 고려해 보면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와 같은 형태의 가집이 연행의 실상을 보다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가집을 별도의 유형으로 설정하고 그 개념으로 ‘잡가집(雜歌集)’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잡가’는 특정 갈래나 가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의 성악곡을 모아 놓은 총류의 개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 songbook 『Japga』 possessed by the McCormick Collection of the Claremont Universit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and types.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combined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ongbooks on the cover of the title “Cheongguakjang(靑邱樂章)”.
    Chapter 2 examines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a total of 52 sheets and 104 pages. The text is transcribed in the form of lines, 12 lines per page. The handwriting is single from start to finish. From page 1 to page 72, 400 Sijo numbers are recorded, and 3 numbers are duplicated. Among them, 173numbers omitted the last line foot like the Sijo-Chang format. There are a total of 10 new works. In addition, no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music or author was recorded. From pages 73 to 104, 16 long songs are included.
    In Chapter 3, the editing layer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400th number of Sijo had a variety of editing levels. It was revealed that the lyric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Sijo-chang → Female singer set in Gagok → Male singer set in Gagok → Isaacdaeyeop arranged by writer → Sijo-chang’. In 16 long songs, the works of Gasa and Japga were mixed without any division, and this was understoo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ontemporary view of Gasa and Japga.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Chapter 3, we developed a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lyrics that included the lyrics of Gagok, Sijo, Gasa, and Japga, and was identified as a predecessor to the so-called printed songbook of Gapga, which was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1910s. The well-known Sijo-chang songbook,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was also considered as this type of songbook.
    In the meantime, as the study of song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ogressed in the composition of Gagoks and Sijo-changs, there was no proper place for this type of songbooks. However, considering the performance situ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en Sijo, Gasa, and Japga emerged, it is judged that a songbook in the form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reflects the reality of performance more broadly. Therefore, in this paper, this type of songbook was set as a separate type and ‘Japgajip(雜歌集)’ was proposed as the concept. Here,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genre or value, but is a concept of a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voc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