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1독립선언서 국외 전파자 V. S. 맥클래치 (V. S. McClatchy : The First Deliver of Korean Independence Declar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12
36P 미리보기
3·1독립선언서 국외 전파자 V. S. 맥클래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0호 / 485 ~ 520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형

    초록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지 지배 에서 벗어나 독립국과 자주민임을 밝힌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3·1운동 의 시발점이 된 독립선언서의 영어본을 국외로 전파한 사람이 미국의 저명한 언론인 맥클래치(V. S. McClatchy)이다.
    맥클래치는 3·1운동이 일어난 당시인 1919년 3월 3일부터 이틀 반 동안 서 울에서 있었다. 그는 서울에 체류하는 기간에 한국인들의 3·1운동을 직접 목 격했을 뿐만 아니라, 군중들이 모여 시위를 하는 현장을 인력거를 타고 다니면 서 사진을 찍고 취재를 하였다. 그리고 맥클래치는 서울에서 입수한 독립선언 서를 몰래 숨겨서 가져와, 외부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3·1운동 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귀중한 독립선언서를 국외로 가져가 국제사회에 알리 는 데에는, 맥클래치라는 미국 언론인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그가 서울에서 가 져온 독립선언서는 일본 도쿄에 있는 언론기관에도 제공되었고, 미주로 가져 가 하와이 영자신문 『애드버타이저(The Pacific Commercial Advertiser)』 1919년 3 월 28일자에 게재하였다. 그리고 북미에서는 최초로 자신이 발행인으로 있는 『새크라멘토 비(Sacramento Bee)』 1919년 4월 3일자에 전문을 실었다. 그가 미 국으로 가져온 독립선언서 영역본은 AP통신사에도 제공되어 전 세계에 한국 이 독립을 선언하였다는 것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맥클래치는 자신이 서울에서 목격한 한국 독립운동의 상황을 정확하게 자신이 발행인으로 있는 『새크라멘토 비』에 게재하였고, 3·1운동을 “세계 사에서 이상을 위해 조직화된 수동적 저항의 가장 위대한 사례”라고 극찬하였 다. 그는 3·1운동 현장을 자신이 본 그대로의 실상을 미주의 언론에 전파하 였으며, 그 자신이 직접 쓴 3·1운동에 대한 신문기사를 『아시아의 독일(The Germany of Asia)』이라는 책자로 발간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널리 알렸다.
    3·1운동 이후 맥클래치는 재미 한인들과 교류하면서 한국의 독립운동을 선전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과 맥클래치는 자주 편지를 연락을 하였는데, 이승만은 한국독립운동을 도와 준 것에 고마움 을 표하였다. 그리고 1921년 10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세계신문기자대회가 개최될 당시, 하와이 한인들은 맥클래치를 초청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도와 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였다.

    영어초록

    On March 1, 1919, in the name of 33 National Representative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announced that the Korean people escap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were independent countries and independent people. It was V.S. McClatchy, a renowned American journalist who spread the English vers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arch 1st Movement.
    McClatch has been in Seoul for two and a half days since March 3, 1919, when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During his stay in Seoul, he not only saw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in person, but also took pictures and covered the scene where crowds gathered and protested on a rickshaw. In addition, McClatch secretly hi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btained from Seoul and played a role in informing the outside worl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e brought from Seoul was also provided to media organizations in Tokyo, Japan, and took it to the Americas and published on March 28, 1919, the Hawaiian English newspaper The Pacific Commercial Advertiser. And in North America, he first published a full text on April 3, 1919, when he was the publisher of Sacramento Bee. A copy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e brought to the United States was also provided to the Associated Press, making it widely known to the world that Korea declared independence.
    In addition, McClatch accurately publishe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witnessed in Seoul in Sacramento Bee, where he was the publisher, and praised the March 1st Movement as "the greatest example of passive resistance organized for the ideal in world history." He spread the reality of the March 1st Movement to the American media, and published a newspaper article about the March 1st Movement he wrote himself in the booklet "The Germany of Asia" to publiciz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McClatch also played a role in promot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hile interacting with Koreans in the Americas. The president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yngman Rhee and McClatch frequently exchanged letters, and Syngman Rhee expressed gratitude for help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cClatch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steadily interacted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so he was called a "good friend" in the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