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청맥』지(誌)의 ‘장시(長詩)’ 기획과 ‘참여시’의 의미 (The ‘Long Poem’ project of 『Chungmaek(靑脈)』 magazine in the 1960s and the meaning of ‘Poetry of Particip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6
40P 미리보기
1960년대 『청맥』지(誌)의 ‘장시(長詩)’ 기획과 ‘참여시’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상리뷰 / 21호 / 235 ~ 274페이지
    · 저자명 : 김지녀

    초록

    『청맥』(1964. 8~1967. 6)은 ‘반외세 민족주의’란 이념을 세운 1960년대의 진보적 지식인 중심의 잡지이다. 창간호부터 한국 사회의 현실을 냉철하게 분석하며, 주체적인 지식인의 역할과 실천을 강조한 『청맥』 연구는 주로 참여문학 담론을 다룬 비평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청맥』은 시와 소설 등의 문학 발표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시의 경우, 『청맥』에는 총 32편의 시가 발표되었다. 눈여겨봐야 할 점은 오경남, 주성윤, 김소영 등 신인들이 ‘장시’를 창작해 연속적으로 실었다는 사실이다. 이점에 입각해 이 연구는 『청맥』에 발표된 9편의 ‘장시(長詩)’를 유형화하고 미학적 특질을 분석했다. 먼저 『청맥』에 발표된 시, 서사시, 시조와 ‘장시’가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후, 『청맥』지의 ‘장시’가 다양한 미학적 스펙트럼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장시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이론적 연구들을 검토해 작품 유형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청맥』지의 ‘장시’를 분석한 결과, 내용 면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역사 현실에 대한 참여적 성격의 이념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형식면에서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개성적인 미학이 나타났다. 신인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감각과 언어로 폭압적이고 혼란스러웠던 1960년대 역사현실에 대한 진단과 실천을 신세대 시인에게 요청한 『청맥』지의 이런 시도는 주체적이고 진보적인 역사현실의 도래를 촉구하는 기획이라 평가할 만했다. 그러나 『청맥』지에 시를 발표한 신인들의 ‘장시’는 참여시의 한계로 지적되는 예술성의 결핍이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점에서 ‘장시’를 통해 그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문학의 참여적 실천은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 단계에 머물렀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한국사회의 현실을 직시하며,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신인들에게 묻고 또 그들이 ‘장시’의 형식으로 응답했다는 사실은 『청맥』이 지향한 문학이념과 참여시의 속성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지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ine ‘long poems’ published in 『Cheongmaek』.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poetry, epic poetry, sijo, and ‘long poetry’ published in 『Cheongmaek』. Furthermore, because the ‘long poems’ of 『Cheongmaek』 showed a diverse aesthetic spectrum, theoretical studies on the concept and essence of long poems were reviewed to prepar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yping the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 'long poems' showed unique poetic aesthetics. This attempt by 『Cheongmaek』 magazine, which asked a new generation of poets to diagnose and practice historical reality in the 1960s, was worthy of evaluation as a project calling for the advent of an independent and progressive historical reality.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degree,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 poems’ of 『Cheongmaek』 magazine showed a participatory ideology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1960s. However, the ‘long poems’ of new artists who published their poetry in 『Cheongmaek』 magazine were exposed to the problem of lack of artistry, which wa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participatory poetry.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heongmaek} faced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asked the new generation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literature should go, and that the new generation responded with 'long poetry'. Regardless of literary achievements, 『Cheongmaek』's 'long poem' project is the clearest sign emphasizing the role and necessity of participatory literature in historic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상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