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락논쟁을 통한 낙론계 심론의 전개 -노주(老洲)ㆍ매산(梅山)에서 간재(艮齋)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Rak School’s “Theory of Heart-Mind” as seen in the “Ho-Rak Controversy”: From Oh Huisang (1763-1833) and Hong Jikpil (1776-1852) to Jeon Wu (1841-1922))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2.02
44P 미리보기
호락논쟁을 통한 낙론계 심론의 전개 -노주(老洲)ㆍ매산(梅山)에서 간재(艮齋)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2호 / 101 ~ 144페이지
    · 저자명 : 신상후

    초록

    학술계의 왕성한 토론과 논쟁은 그 구성원들의 활발한 소통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학술계의 수준과 생동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주자학(朱子學)의 심성론(心性論)과 관련하여 전개된 대표적 논쟁으로, 전통 학술계에서는 조선조 후기의 호락논쟁(湖洛論爭)을, 현대 학술계에서는 미발(未發) 논쟁과 율곡학(栗谷學) 논쟁을 꼽을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이 세 논쟁은 모두 주자학(혹은 율곡학)의 마음 이해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이다. 주자학의 마음을 사적 인지심(認知心)으로 보는 견해와 도덕적 본심으로 보는 견해가 대립한 논쟁으로, 이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체로 현대 연구자들은 전자의 입장에 기울어있다.
    반면, 낙론계(洛論系) 심론은 후자의 입장을 취한다. 그들은 주자학과 율곡학의 중심테제를 견지하면서도 만물의 근원적 동일성을 천명하고 마음을 성과 일치하는 도덕 본심의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은 낙론계 심론을 분석함으로써 ‘주자학에서 도덕 본심이 성립할 수 있는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 1763~ 1833)과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 1776~1852),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 1922)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노주와 매산을 선정한 이유는 이들 이론에서 체계화된 낙론계 심론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 두 사람의 심론 중 간재의 계승과 연관하여 미발심체본선설(未發心體本善說)과 명덕주기설(明德主氣說)을 분석하였다.
    간재는 노주와 매산의 심론을 계승하면서도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과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을 제창함으로써 발전적 전개를 이루었다. 따라서 간재의 진일보한 심론을 통해 우리는 주자학ㆍ율곡학 체계 내에서 도덕 본심의 지지 근거가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the so-called Rak School of Confucianism. Especially, he is known as the successor of both Oh Huisang (pen name Roju) and Hong Jikpil (pen name Maesan). Notably, he openly proclaimed that “the debate over the Theory of Hreat-Mind belongs to the public realm. Thus, one should not refrain from exposing the errors of your predecessors, even if you belong to the same school,” and raised questions on Gim Changhyeop (pen name Nongmu, 1651-1708)’s theory on the so-called “Four Moral Sprouts and Seven Sentiments.” However, he never raised any objections on Oh Huisan or Hong Jikpil, indicating that he was a faithful successor of both Oh and Hong.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eon’s theory and what Oh and Hong had argued. The main evidence of this argument is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what the “heart-mind” and “original nature (Kr. bonseong, Ch. benxing 本性)” are. Oh, and Hong considered that the heart-mind, just like the “original nature,” is innately “good.” However, Jeon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rt-mind” and the “original nature.” Although there might be some truth to this interpretation, accepting this interpretation implies that there are both continuity and divergence between Oh-Hong and Jeon, thus meaning that Jeon’s theory is contradictory.
    I arg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problematic. As an alternative, in this article, I demonstrate how Jeon succeeded some of Oh-Hong’s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advanced some of their ideas. Essentially, in order to argue that the “heart-mind” is innately good, Oh and Hong relied on the concepts of “Heart-Mind on Mibal (未發心),” i.e., the state of one’s heart-mind before it develops any emotions or thoughts. In contrast, Jeon relied on the theory that the original state of qi (氣質本體). Thus, all agreed that the heart-mind is innately good. In addition, Oh and Hong relied on the concept of the “illustrious virtue (明德),” to emphasize that the “heart-mind” and “original nature” exist in different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Jeon proposed a concept where the original nature becomes the teacher, and the heart-mind becomes the student. Thus, all agreed that the heart-mind belongs to the realm of the phenomena (形而下), while original nature belong to the realms of beyond phenomena (形而上).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