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치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대뇌 아밀로이드 병리 예측을 위한 정량화 뇌파 지표: 예비연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Markers for Predicting Cerebral Amyloid Pathology in Non-Demented Olde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Preliminary Study)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12
8P 미리보기
비치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대뇌 아밀로이드 병리 예측을 위한 정량화 뇌파 지표: 예비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수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수면정신생리 / 28권 / 2호 / 78 ~ 85페이지
    · 저자명 : 박선영, 채수현, 박진식, 이동영, 박지은

    초록

    목 적: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우울증상이 알츠하이머병 의 전구 증상으로 나타났는지를 감별하는 것은 중요한 임상 적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화 뇌파(quantitative EEG) 지표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치매로진단받지않은55세이상의우울증환자 63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여성 76.2%; 평균 연령 ± 표 준편차 73.7 ± 6.87세). 연구 대상자들은 [18F] florbetaben PET 결과에 따라 아밀로이드 양성(Aβ+, n = 32)과 음성으 로(Aβ-, n = 31) 분류하였다. 뇌파는 7분 간의 눈을 감은 상 태(eye-closed, EC)와 3분 간의 눈을 뜬 상태(eye-open, EO) 로 촬영하였으며,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 여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안구 개폐 알파파 반응성 지표(EC-to-EO alpha reactivity in- dex)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아밀로이드 침착을 예측할 수 있는 신경생리학적 마커가 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알파 밴드 파워에서 아밀로이드 침착 여부(Aβ+ vs. Aβ-), 안구 개 폐 조건(EC vs. EO), 지형학적 요인(laterality, polarity) 간 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사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Aβ+군과 Aβ-군에서 각 주파수 밴드의 평균 파 워 스펙트럼 밀도 중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에서만 유 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F = 6.258, p = 0.015). 알파 밴드 에서의 Group (Aβ+ vs. Aβ-) × Condition (EC vs. EO) × Laterality (Left, midline, or right) 3-way interaction이 연 령, 성별, 교육 연수, 전반적 인지 기능, 약물 사용, MRI상 백 질 고신호강도를 보정한 뒤에도 유의하였다(F = 3.720, p = 0.030). 하지만 대뇌 관심영역 별로 아밀로이드 침착에 따른 알파파 반응성을 비교한 사후 분석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차 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 증가가 대뇌 아밀로이드 침착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했던 안구개폐 알파파 반응성지표 는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하지는 못했다. 보다 많은 대상 자를 포함한 추후 연구로 해당 결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When elderly patients show depressive symptoms, discrimination between depressive disorder and prodromal phase of Alzheimer’s disease is important. We tested whether a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qEEG) marker was associ- ated with cerebral amyloid-β (Aβ) deposition in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Methods: Non-demented older individuals (≥ 55years) diagnosed with depressi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n = 63; 76.2%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73.7 ± 6.87 year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β+ (n = 32) and Aβ- (n = 31) groups based on amyloid PET assessment. EEG was recorded during the 7min eye-closed (EC) phase and 3min eye-open (EO) phase, and all EEG data were analyzed using Fourier transform spectral analysis. We tested interaction effects among Aβ posi- tivity, condition (EC vs. EO), laterality (left, midline, or right), and polarity (frontal, central, or posterior) for EEG alpha band power. Then, the EC-to-EO alpha reactivity index (ARI) was examined as a neurophysiological marker for predicting Aβ+ in depressed older adults.
    Results: The mean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alpha band in EO ph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β+ and Aβ- groups (F = 6.258, p = 0.015). A significant 3-way interaction was observed among Aβ positivity, condition, and laterality on alpha-band power after adjusting for age, sex, educational years, global cognitive function, medication use,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n MRI (F = 3.720, p = 0.030). However, post-hoc analys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RI according to Aβ status in any regions of interest.
    Conclusion: Among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increased power in EO phase alpha band was associated with Aβ positivity. However, EC-to-EO ARI was not confirmed as a predictor for Aβ+ in depressed older individuals. Future studies with larger samples are needed to confirm our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