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개학적 관점에서 본 취추바이의 문학언어론 (Quqiubai’s Literary Language Theory from a Mediological Perspectiv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매개학적 관점에서 본 취추바이의 문학언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현대문학 / 108호 / 333 ~ 362페이지
    · 저자명 : 조현국

    초록

    본 연구는 매개학적 관점에서 1920-1930년대에 전개된 취추바이(瞿秋白)의 대중매체 활동 의미와 문학언어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취추바이는 《新靑年》季刊·《前鋒》·《熱血日報》·《볼셰비키》·《紅色中華》 등의 신문·잡지 매체를 통해 사회주의 생태계를 형성하려고 노력했다. 다시 말해 취추바이에게서 이들 대중매체는 서구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중국으로 전치(轉置)하는 매개체였으며, 그것이 민족적 현실과 부딪치면서 보다 더 복합적으로 증폭시킬 필요가 있을 때 그런 정동을 전달하는 미디어 기제였던 것이다. 또한 취추바이의 신문·잡지를 중시하는 매개학적인 사유는 루쉰 잡문(雜文)의 가치를 발견하는 배경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에 전개된 취추바이의 문학언어론은 5·4백화문운동의 한계를 비판하고, 노동대중의 문학언어를 창출하기 위해 중국의 어문 질서를 ‘국어(國語)-한자(漢字)’ 체계에서 ‘普通話-라틴화신문자’로 전환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 같은 취추바이의 문학언어론은 레지스 드보레가 언급한 “알파벳적인 영웅주의”와 유사한 양상을 띤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普通話에 기초한 취추바이의 문학언어론은 서양 알파벳문화에 대한 맹목적인 이식이 아니라 1930년대 중국 현실에 기초하여 이를 극복하려는 반전통·탈식민 사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Qu Qiubai’s mass media activities and literary language theory developed in the 1920s and 1930s from a mediological perspective. Qu Qiubai tried to form a socialist ecosystem through newspaper and magazine media such as 『Xinqingnian(新靑年)』 quarterly⋅ 『Qianfeng(前鋒)』⋅『Rexueribao(熱血日報)』⋅『Hongsezhonghua(紅色中華)』. Qu Qiubai attempted to form a Chinese socialist ecosystem through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other words, for Qu Qiubai, these mass media were a medium to transfer Western Marxism and Leninism to China, and were a media mechanism to convey such affect when it encountered national problems and needed to be amplified more complexly. In addition, Qu Qiubai’s mediological thinking appears to have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discovering the value of Lu Xun’s Za-Wen(雜文) writings.
    Qu Qiubai’s theory of literary language, developed in the 1930s, criticized the limitations of the May Fourth Modern Language Movement(五四白話文運動) and changed Chinese linguistic order from the “Guoyu(國語)-Chinese characters(漢字)” system to “Putonghua(普通話)-Lati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create a literary language for the working masses. Qu Chubai’s theory of literary language was found to have similar aspects to the “alphabetical heroism” mentioned by Regis Debray. Qu Qiubai’s literary language theory based on the Putonghua(普通話) can be evaluated as originating from anti-traditional and postcolonial thinking to overcome it based on the reality of China in the 1930s, not a blind transplant into Western alphabet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현대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