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디매오 서사에서 다윗의 자손 (Son of David in the Narrative of Bartimae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8
28P 미리보기
바디매오 서사에서 다윗의 자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학 / 67호 / 167 ~ 194페이지
    · 저자명 : 김재현

    초록

    이 글은 바디매오 서사에서 ‘다윗의 자손’이라는 호칭이 가지는 의미를 서사적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바디매오는 마가복음 서사의 결정적인 지점에 등장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마가복음 치유 이야기의 계열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치유 이야기를 총괄한다. 바디매오는 유대 종교 지도자나 무리들, 그리고 “그 열둘”과는 결이 다른 사람들, 병자, 장애인, 귀신들린 사람들, 거지, 어린 아이 등의 이름없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표상이다. 예수는 이들에 대해서 연민을 가지고 공감하고 칭찬하며 치유했다. 동시에 그는 마가복음의 제자 이야기의 계열의 한 가운데에 등장하여 제자도의 모범을 보인다. 바디매오 서사를 살펴보면 바디매오가 얼마나 걸출한 제자였는가를 알 수 있다. 마가복음 서사에서 바디매오는 베드로, 야고보, 요한 못지 않은, 아니 이들을 능가하는 탁월한 제자였다. 마가복음의 서사 세계에서 바디매오는 다윗의 자손이라는 기독론적 개념을 도입한 인물이다. 바디매오는 예수에 대한 소문과 더불어 구약과 중간기 문헌의 전승에 대한 신학적 반성을 토대로 자신의 고백에 도달했을 것이다. 이러한 바디매오의 고백에 대해 마가 화자는 다윗의 자손을 불충분하지만 올바른 개념으로 보았다.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사실은 궁극적인 대답은 아니지만 유의미한 대답이었던 것이다.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마가복음의 관점은 이후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을 통해서 신학적으로 더 발전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itle ‘son of David’ in the narrative of Bartimaeus at the narrative level. Bartimaeus appears at a crucial point in the narrative of Mark’s Gospel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He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eries of healing stories in Mark’s gospel and summarizes the healing story. Bartimaeus is a symbol representing nameless people such as the sick, disabled, demon-possessed, beggars, and children who are different from the Jewish religious leaders, crowds and “the twelve,” Jesus had compassion for them, sympathized with them, praised them, and healed them. At the same time, Bartimaeus appears in the middle of the series of discipleship stories in Mark’s Gospel and shows an example of discipleship. Looking at the narrative of Bartimaeus, we can see how outstanding a disciple Bartimaeus was. In the narrative of Mark’s Gospel, Bartimaeus was an excellent disciple who was as good as, or surpassed, Peter, James, and John. In the narrative world of Mark’s Gospel, Bartimaeus is the person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being the son of David. Bartimaeus must have arrived at his confession based on the rumors about Jesus and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literature of the middle period. In response to this confession of Bartimaeus, the narrator of Mark’s Gospel saw the son of David as an insufficient but correct concept. The fact that Jesus was the son of David was not the ultimate answer, but it was a meaningful answer. Mark’s view that Jesus was the son of David was later developed theologically through the Gospels of Matthew and Lu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