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냄새 맡는 인간, 냄새 나는 텍스트 -한국 근대문학과 냄새 (Smelling Human, Smelly Texts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Smell)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9.12
59P 미리보기
냄새 맡는 인간, 냄새 나는 텍스트 -한국 근대문학과 냄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3호 / 173 ~ 231페이지
    · 저자명 : 이경훈

    초록

    김동인의 「K박사의 연구」는 무취를 지향하는 과학을 통해 근대 문명이 구사하는 “탈취의 전략”을 보여준다. 이때 자연은 악취가 나는 타자로 전락한다.
    그러나 악취는 도시와 사회에서도 풍긴다. 그리고 “하층계급은 냄새가 난다”는 조지 오웰의 말이나 박태원의 「골목 안」이 잘 보여주듯이, 도시의 대표적인 악취는 가난의 냄새다. 공간적 경계를 넘을 수 있는 냄새는 오히려 계층 사이의 경계를 환기한다. 그 점에서 「소낙비」의 이 주사가 춘호 처의 냄새를 꾸짖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그런데 후각은 타인종이나 타민족을 “다른 사람들”로서 배제하기도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인화로 하여금 조선 민족의 “구더기 썩는 냄새”를 폭로하게 하는 「만세전」의 경우다. 식민지 한국문학은 종종 하층계급이자 식민지인으로서 이중으로 악취를 풍기는 조선인들을 스스로 묘사함으로써 그 복잡한 정체성을 그려내었다. 이는 이효석의 「엉겅퀴의 장」에서 마늘 냄새를 둘러싸고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사이에 벌어진 갈등의 의미와도 관련된다. 즉 이 소설에서 냄새는 제국과 식민지의 권력관계를 환기한다.
    이광수의 「사랑」은 냄새의 도덕화를 시도한 대표적인 근대소설이다. 안빈 박사는 과학 실험을 통해 발견한 “아우라몬”과 “아모로겐”의 냄새를 선과 악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탐욕과 죄의 악취가 풍기는 전자의 사랑을 극복해 자비의 향기로 충만한 후자의 사랑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무명」에서 서술되듯이, 이광수는 냄새에 종교적인 의의를 부여하기조차 한다.
    한편 현진건의 「타락자」에서 묘사되는 것처럼, 냄새는 존재에 대한 기억을 일깨운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는 정지용이 양복 가게의 옷에서 맡은 냄새와 대비된다. 후자는 신상품의 냄새, 즉 화폐 교환으로써 “여자 옷”과 “여자”를 관계 맺게 하는 시장의 냄새이다.
    이상의 「지주회시」와 「날개」는 이 두 가지 냄새를 종합한다. 주인공들은 “아내의 살”에서 다른 남자들의 “허다한 지문 냄새”를 맡거나 아내의 화장품에서 “아내의 체취의 파편”만을 느낀다. 그들은 이렇게 그리움과 소외를 파국적으로 매개하면서, “담벼락을 뚫고 스며드는” 근대 사회를 묘사해 낸다.

    영어초록

    Kim Dong-in’s “Doctor K`s Research(K박사의 연구)” shows the “strategy of deodorization” of the modern civilization through science which aims to be odorless. In this way, nature becomes the malodorous other.
    But odors also come from cities and societies. And, as George Orwell says, “the lower class smells,” or Park Tae-won’s “In the Alley(골목 안)” reveals well, the city’s typical stench is the smell of poverty. The smell that can cross the spatial boundary rather evokes the boundaries of the hierarchy. In that sense it is significant that Yi jusa of “Shower(소나기)” rebukes the stink of Chun-ho`s wife.
    However, the olfactory sense also excludes other races or ethnics as “the others.” What is interesting is the case of “On the Eve of the Uprising(만세전)” in which Lee In-hwa exposes the “maggots rotting smell” of Korea. In this way, colonial Korean literature often portrayed the complex identity of double-smelling Koreans as lower classes and colonial people. This i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conflict between a Korean man and a Japanese woman over the smell of garlic in Lee Hyo-seok’s “The Chapter of Azami(엉겅퀴의 장)”. In this text, the smell implies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Lee Kwang-su’s Love(사랑) is a representative modern novel that attempted the moralization of smell. Dr. Anbin connects the smell of “auramon” and “amorogen” found in scientific experiments with good and evil. And he insists on overcoming the former love which is full of stench of greed and sin, and moving forward to the latter love filled with the scent of mercy. Furthermore, as described in “Mumyong(무명)”, Lee Kwang-Soo even gives religious significance to smells.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Hyun Jin-gun’s “The Fallen(타락자)”, the smell awakens the memory of existence. Thus, this smell is contrasted with the smell that Jeong Ji-yong smells in the clothes of the clothes shop. The latter is the smell of new products, that is, the smell of the market that links “woman clothes” and “women” by currency exchange.
    Yi Sang`s “A Spider meets a Pig(지주회시)” and “The Wings(날개)” synthesize these two smells. Each protagonist smells “many fingerprints” of other men in “wife’s flesh” or feels only “the fragments of wife’s body smell” in wife’s cosmetics. In these ways, mediating longing and alienation catastrophically, they portray the modern society that “penetrates through wa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